‘책 영정사진’ 든 10세 소녀…이문열 “사형 당하고 있었다”

  • 카드 발행 일시2024.03.25
2001년 6월 29일 손영래 당시 서울지방국세청장(가운데)이 6개 신문사에 대한 검찰 고발 사실을 발표하기에 앞서 국세청 국장들과 함께 인사하고 있다. 중앙포토

2001년 6월 29일 손영래 당시 서울지방국세청장(가운데)이 6개 신문사에 대한 검찰 고발 사실을 발표하기에 앞서 국세청 국장들과 함께 인사하고 있다. 중앙포토

1회 참담했던 책 장례식   

나는 한때 펜을 검으로 여겼다. ‘펜을 검으로 여긴다’는 말은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의 대표작 『말』에 나오는 문장인데, 서른이 넘어 뒤늦게 작가가 된 나는 한동안 저 말을 무슨 신조처럼 떠올리며 지냈던 것 같다. 그렇게 된 데는 아무래도 신산스러웠던 내 가족사의 영향이 컸다고 봐야 한다. 옛날 오기를 부릴 때는 삼무자(三無者)라고 해서, 나는 나라 혹은 이념도 없고 아비는 물론이요 스승도 없노라고 큰소리치고 다녔다.

나라가 없다는 것은, 국민으로서 나의 몫을 인정해 주지 않는 대한민국을 내 나라로 여길 수 없다는 뜻이었다. 젊은 나는 한탄하곤 했다. 나처럼 월북한 아버지를 둔 불온한 사람들은 공무원이 될 수도 선출직에 나설 수도 없었다. 1980년에야 전두환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지된 연좌제의 폐해다. 아비가 없으니 생활은 파탄의 연속일 수밖에 없었다. 국민학교(초등학교) 말고는 제대로 학교를 다닐 수 없었고 그러다 보니 당연히 인생의 스승, 학문의 스승이 있을 수 없었다.

나는 단독자, 독학자였다. 대신 내게는 검 같은 펜이 있었다. 과거 나는 한 인터뷰에서 말은 부드럽게 하더라도 글은 독하게 써야 한다고 말한 적도 있다. 그게 말의 속성이고, 내가 가진 가장 강력한 무기는 다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펜은 쓰는 사람도 다치게 하는 면도날이었다

사르트르처럼 결국 펜의 무력함을 깨달았다는 점을 하나의 아이러니라고 해야 할는지. 겪어 보니 펜은 전능한 검이기보다는 그것을 지닌 사람을 상하게 하는 면도날인 수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2001년 책 반환 행사는 내가 이전에 휘말렸던 어떤 논쟁이나 싸움과도 달랐다.

나는 지금도 어떻게 일이 그렇게까지 됐는지 영문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