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인 유네스코는 문해력을 ‘최소문해력’과 ‘기능적 문해력’으로 나누어 정의한다. 최소문해력은 글자를 읽고 글씨를 쓰는 기초 능력을 뜻하고, 기능적 문해력은 글자로 이뤄진 의미 덩어리, 즉 글을 읽고 이해하고, 쓰고 활용하는 능력을 뜻한다. 두 가지 문해력 모두 ‘읽기’만큼 ‘쓰기’를 강조하고 있다.
hello! Parents가 만난 4인의 전문가들은 문해력을 ‘커뮤니케이션 역량’으로 정의했다. 이 정의에 비춰보아도 쓰기는 읽기만큼 중요하다. 읽기가 누군가가 쓴 글을 읽고 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는 것이라면, 쓰기는 누군가를 이해시킬 목적으로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가 모두 가능해야 소통하고 협업하는 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 문해력 논의는 아직 ‘읽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hello! Parents 문해력 집중 해부 4편에서는 충분히 조명받지 못하고 있는 ‘쓰기’를 본격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를 만났다. 박 교수는 서울대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수 모임의 일원으로, 9년간 글쓰기 중심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