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85% vs 삼전 12%…주가 상승 가른 결정적 한가지

  • 카드 발행 일시2023.03.29

85% 대 12%

연초부터 지난 27일까지 엔비디아와 삼성전자의 주가 차이입니다. 올 초부터 챗 GPT 열풍으로 인해 엔비디아 주가는 승승장구했는데요. 챗 GPT의 두뇌 격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만드는 곳이 엔비디아기 때문이죠.

엔비디아 창업자 젠슨 황 CEO. 사진 엔비디아

엔비디아 창업자 젠슨 황 CEO. 사진 엔비디아

하지만 이 GPU에 들어가는 고성능 반도체(HBM)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만드는데요. 정작 이들 반도체 기업의 주가는 힘을 못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 가드레일 발표와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등 굵직한 뉴스에도 삼성전자 주가는 ‘6만 전자’에 머물고 있으니 주주들로서는 답답할 노릇이죠.

김유경 인턴기자 kim.youkyung1@joongang.co.kr

김유경 인턴기자 kim.youkyung1@joongang.co.kr

국내 반도체 업체 주가가 맥을 못 추는 건 메모리 반도체 수요 부진과 가격 하락이 실적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인데요. 올해 1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680억원)이 적자 전환할 것이란 전망(다올투자증권)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에 은행 위기로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지며 ‘반도체의 겨울’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죠. 앞으로 반도체 업황에서 큰 영향을 미칠 이슈를 ①수요 ②공급 ③대외 변수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①수요: 챗 GPT·인텔 4세대 CPU가 구원투수 될까

올 초부터 챗 GPT가 흥행(출시 두 달 만에 가입자 3억 명 달성)에 성공하면서 반도체 업계에도 기대감이 번졌습니다. 가장 직접적인 수혜주로 꼽히는 엔비디아의 주가는 급상승했죠. 엔비디아는 챗 GPT의 두뇌라고 할 수 있는 GPU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챗 GPT에는 엔비디아의 GPU가 약 1만 개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GPU에 들어가는 고성능 반도체가 바로 HBM입니다. GPU는 D램에 저장된 데이터를 꺼내 와 연산하고 D램에 다시 저장하기를 반복하는데요. HBM은 D램을 여러 개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대폭 끌어올린 반도체입니다.

엔비디아의 GPU에는 SK하이닉스의 HBM3가 들어갑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1일 “챗 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의 추론 작업에 적합한 새로운 GPU ‘PCIE H100’을 소개한다”며 “여기에는 94GB HBM3 메모리 반도체가 들어간다”고 밝혔죠.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처음이라면, 첫 달 무료!

인사이트를 원한다면 지금 시작해 보세요

지금 무료 체험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