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플레터 189호, 2022.1.18
Today's Topic
머스크도 어렵다던 자율주행, 4룡이 나르샤

팩플레터 189호
지난해 하반기부터 자율주행차 관련 국내외 뉴스가 부쩍 늘어난 거, 혹시 체감하셨나요? 수년전 투자 소식과는 좀 다른 분위기입니다. 기술이 완성된 건 아니지만 구체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로 구현하려는 시도가 많아졌어요. 당장 현대차도 올해 연말부터 자율주행(3단계)이 가능한 신차를 출시하겠다고 합니다. 기업들의 마케팅인지, 진짜 의미있는 시그널인지 오늘 박민제·남궁민 기자가 팩플레터에서 살펴봤습니다. 국내 자율주행 기술 대표 선수들의 전략과 이들의 숙제도 분석했으니, 놓치지 마세요!
중앙일보 본사가 위치한 서울 상암동(자율주행 시범지구입니다)에선 자율주행 테스트 차량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지나는 그 차량을 볼 때마다 기대 못지 않게 궁금증도 커집니다. 혹시 자율주행 차량이 사고라도 낸다면 누구 책임이 가장 클까, 운전자(혹은 보행자)인 내가 책임 소재를 명명백백하게 따질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까, 내 자동차 보험료는 오를까 내릴까…. 십수년째 미완의 인간주행자인 저는 이렇게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질문들부터 떠오릅니다. 여러분은 자율주행 시대를 앞두고 어떤 질문을 갖고 계신가요?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면 바로 타보실 건가요? 오늘도 ‘설문 참여’ 잊지 마시구요! 감사합니다.
From 박수련 팩플 팀장
🧾목차
1. 10년째 대기중, 자율주행
2. N번째 전성기, 믿어도 돼?
3. 내 곁에 스며든 자율주행, 4룡이 나르샤 ①
4. 내 곁에 스며든 자율주행, 4룡이 나르샤 ②
5. 완전자율주행, 서행하는 이유
6. 자율주행차, 남은 숙제는
1.10년째 대기중, 자율주행
완전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본격화한지 10년이 넘었지만 아직은 ‘꿈’이다. 자동차 제조사도 모빌리티 플랫폼도 그 꿈을 향해 뛴다. AI에 운전대 맡기고 쉴 수 있는 ‘뒷좌석 드라이버’(backseat driver) 시대는 언제쯤 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