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 로그인하고 한결 더 편리해진 나만의 중앙일보를 경험해보세요.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있습니다.
RBD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바이러스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이 사람의 비인두와 폐에 있는 세포에 결합하고, 클론 항체나 감염된 후 회복기 혈청에서 얻어진 면역 보호를 회피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중앙일보
2021.11.29 06:10
남아공 넬슨만델라의대의 유전학자 툴리오 드 올리베이라 교수는 언론 브리핑에서 이 변이의 경우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영역(RBD)에서 변이가 10개 확인돼 2개뿐인 델타와 비교된다고
2021.11.26 19:25
SK바사 관계자는 “GBP510의 수용체 결합 단백질(RBD)에는 IPD의 나노입자 디자인 기술이 적용됐다”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 증식을 차단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2021.08.10 11:33
말레이시아 천산갑에서 나온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상동성이 91% 였지만, 스파이크 단백질 중에서도 사람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 즉 RBD에서는 100%의 상동성을
2021.02.13 06:00
가운데 붉은색 원은 RBD의 501번째 아미노산인 타이로신(Tyr)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2020.12.28 11:52
연합뉴스 당국에 따르면 아프리카 질병예방통제센터(CDC)는 최근 남아공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세포 수용체 결합 부위(RBD)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보고됐다고 발표했다
2020.12.26 16:21
‘RBD’에 대한 영상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2022.06.29 22:47
2022.06.30 03:43
2022.06.29 17:35
2022.06.29 17:23
2022.06.30 05:00
중앙일보는 뉴스레터, 기타 구독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거부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 하였을 경우 이메일을 수신할 수 없습니다. 구독 신청을 통해 발송된 메일의 수신 거부 기능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