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필수’
검색결과

한국사 필수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 [중앙시평] 이제는 타협과 협력의 시간

    [중앙시평] 이제는 타협과 협력의 시간

    조윤제 서강대 명예교수·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한국사회는 수렁에 빠져있다. 심한 분열과 갈등과 불신, 미래에 대한 불안, 집단이기주의, 유착과 담합을 통한 기득권 방어가 우리 사회

    중앙일보

    2024.04.12 00:37

  • “중2병 걸려도 이건 꼭 했다” 서울대생이 선행 대신 한 것

    “중2병 걸려도 이건 꼭 했다” 서울대생이 선행 대신 한 것 유료 전용

    3년 선행이 대세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서울대 1학년들의 공통점은 선행학습이 아니었어요. 독서였죠.   서울대생은 초·중·고 12년간 어떻게 공부했을까? 나민애 서울대 기초교육

    중앙일보

    2024.04.03 15:10

  • 자원봉사계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전면 개정하라”

    자원봉사계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전면 개정하라”

    한국사회복지협의회와 한국자원봉사협의회는 11일 한국사회복지회관에서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전면개정과 중고교 사회봉사 필수과목 제도화 등을 요구하는 자원봉사정책을 제언했다. 한국사회복지

    중앙일보

    2024.03.12 16:11

  • "이 당 좀 찍어줘"…'셋중 한명 유권자' 고3, 교실서 친구 설득한다

    "이 당 좀 찍어줘"…'셋중 한명 유권자' 고3, 교실서 친구 설득한다

    경기도 고양시의 고교 3학년 이모(17)군은 최근 한 정당의 공천에 탈락한 당협위원장의 분신 사건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렸다. 이 사건에 대한 친구들의 생각이 궁금했다

    중앙일보

    2024.03.12 05:00

  • [채병건의 시선] 흔들리는 ‘먼곳의 벗’

    [채병건의 시선] 흔들리는 ‘먼곳의 벗’

    채병건 Chief 에디터 ‘벗이 멀리서 찾아오니 그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는 널리 알려진 논어의 글귀다. 이 문장을 놓고 엉뚱한 의문을 가져봤다. 왜 벗

    중앙일보

    2024.02.20 00:28

  • [중앙시평] 한국인의 교육열, 건강한가?

    [중앙시평] 한국인의 교육열, 건강한가?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명예교수·전 총장 우리나라 국민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예를 들어 학령인구의 대학진학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초중고 사교육비는 매년 증가하여

    중앙일보

    2024.02.02 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