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희귀조「너새」한 마리 생포 백령도서 서식처 이동하다 낙오

    【백령도=김진성 지국장】천연기념물 206호로 희귀조인 너새 1마리가 지난 12일 백령도 가을리 해변에서 서식을 위한 이동 중에 잡혔다. 「너새」·「느시」·「들 칠면조」라는 이름을

    중앙일보

    1974.01.17 00:00

  • 천연기념물 203재두루미 나타나

    【부산】천연 기념물인 재두루미가 자취를 감춘 지 7년만에 낙동강 하구에서 발견됐다.5일 하오 동아고등학교 철새 도래지 조사반은 낙동강 하구인 김해군 오지면을 숙도 남쪽 갯가에서 재

    중앙일보

    1973.12.06 00:00

  • 건물 추정

    【부산】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흰죽지참수리 한마리가 지난4일하오1시 부산시 서구 하단동 낙동강하류에서 동아고등학교 한중견교사 52) 에 의해 발견됐다. 이 흰죽지참수리는 매목독수리

    중앙일보

    1973.12.06 00:00

  • 희귀조 저어 새 또 발견

    【부산】희귀조인 저어새 (천연기념물205호) 의 번식지 추적에 나선 동아고교 철새조사반 (박원혁· 한춘길· 패자열 교사) 은 지난17일 상오11시 김해군 약산이과 창원군 웅동면 사

    중앙일보

    1973.06.20 00:00

  • 세계희귀조「저어새」발견|낙동강 하구에서 세마리

    세계적인 희귀조로 알려진 저어새(천연기념물「205호)3마리가 낙동강 하구인 금부군오지리앞 대마섬과 장자섬 사이 물가에서 발견됐다. 철새도래지 실태조사를 위해 지난10일 낙동강하구를

    중앙일보

    1973.06.14 00:00

  • (348)까막딱다구리|처음으로 한수 이남 찾아 둥우리 친 희귀조

    멸종위기에 놓인 희귀한 새들이 빼앗긴 옛 보금자리로 되돌아오고 있다. 경기도 광릉의 크낙새 충북음성과 청원의 황새, 비무장지대 안의 두루미 등이 다시 나타나는가 하면 크낙새와 맞

    중앙일보

    1973.02.20 00:00

  • 방생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배우는 국어책에 『까치가 까악 까악, 참새가 짹짹…』 하는 글이 나온다. 어린이들은 그저 글을 따라 줄줄 외운다. 그러나 까치소리나 참새 지저귀는 소리를 들어본

    중앙일보

    1972.12.13 00:00

  • 천연 동·식물의 보고…세계적인 관광지 감

    문공부 문화재관리국은 5일 민통선 인접지역 자연종합학술조사결과 3개의 천연보호구역과 2개의 천연기념물을 지정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회장 강영선·서울문리이대교

    중앙일보

    1972.12.08 00:00

  • 자연의 실체-울릉도

    이번 한국자연보존연구회가 실시한 울릉도 학술조사는 문화공보부의 위촉에 의한 것이므로 천연기념물의 보존실태를 파악하여 과학적인 보존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천연자원의 개발방도를 강구하려

    중앙일보

    1971.08.23 00:00

  • (205) 백로 생태

    강원도양양군포매리에 2천마리나 되는 백로와 왜가리의 대집단이 서식하고 있다는 기쁜소식을 들었다. 사실이라면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천연기념물로 지

    중앙일보

    1969.06.07 00:00

  • 강남길 태릉에 우선 모이는 철새군

    먼 강남길에 오르기에 앞서 수십만의 제비가 무리지어 채비 차리고 있는 특이한 장소가 서울근교에서 발견됐다. 서울동북방의 태릉. 여기엔 제비떼 외에 수만의 할미새까지 곁들여 세계적으

    중앙일보

    1967.09.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