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부미 판매 대상자 필요할땐 제한 가능|각의, 양곡관리법 개정안 수정의결

    14일 하오의 국무회의에서 통과된 양곡 관리법 개정안은 농림부의 당초방침이 일도 수정되어 『필요할 경우에는 정부미의 판매지역과 대상자를 제한할 수 있게』규정함으로써 정부가 필요하다

    중앙일보

    1971.12.15 00:00

  • (중)유통·가격 통제

    양곡 수급조절과 가격 안정정책을 효과적으로 밀고 나가려면 그 하부구조라 할 수 있는 유통질서가 확립돼야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쌀은 총 유통량의 85%가 자유시장기구를 통해 거래되고

    중앙일보

    1971.12.09 00:00

  • 쌀 방출 제도를 보완

    농림부는 장기양곡정책 방향으로서 오는 76년도까지는 농가소득증가와 주곡의 자급자족을 달성한다는 목표아래 고미가 정책과 맥류의 2중 곡가제를 강력히 추진하는 한편 소비자 쌀값 안정시

    중앙일보

    1971.10.05 00:00

  • 「정상화」에의 험로…하반기 경제 (5)|곡가와 유통 구조

    식량의 자급 자족이 양정의 기본 과제라면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당면 과제는 증산 유인 시책으로서의 곡가 정책 및 생산자와 소비자를 다 함께 보호하는 양곡의 합리적 유통 구조 확립 등

    중앙일보

    1971.07.05 00:00

  • 정부미 부분배급제 구상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면

    ▲조기선씨(고대교수)=과거의 경험으로 보아 곡가 조절은 역시 시장가격 기구에 맡겨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듭해 온 배급제를 다시 부활시킨다는 것은 자유경제를

    중앙일보

    1971.06.25 00:00

  • 쌀 대책… 제3의 돌파구

    정부가 검토중인 정부미의 부분적 배급제는 소비자 보호위주의 종전의 저 곡가 정책과 소비자 및 생산자를 다같이 보호하는 현행 양곡정책방향을 급선회, 생산자는 계속 보호하되『소비자는

    중앙일보

    1971.06.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