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울도심 12개 지역「재개발」 않기로|풀리지 않은 지역도 개보수·용도변경 허용

    서울시는 20일 도심 재개발 사업구역으로 묶어 73년부터 7년동안 건축행위를 규제했던 서울 명동2가 등 4대 문안 12개 도심 재개발 사업구역을 올해안에 개방지역에서 풀어 건축법에

    중앙일보

    1980.10.20 00:00

  • 무허 불량주택철거 보조금등 "제대로 지급안되고 있다"

    불량주택철거민들에게 주는 철거보조금과 시영「아파트」입주권이 제대로 주어지지않아 철거민들이 불편을 겪고있다. 서울시가 78∼79년에 불량주택재개발사업으로 집이헐린 8천8백가구를 대상

    중앙일보

    1980.06.11 00:00

  • 무허주택 3만채 철거 않고 개량|미관해치는 집단무허촌은 제외

    서울시는 무허가 건물가운데 집단으로 몰려있지 않고 한두 가구씩 흩어져있는 3만1천가구를 철거하지 않고 장기계획을 세워 주민스스로 개량시킬 것을 검토중이다. 이같은 방침은 최근 주택

    중앙일보

    1980.05.17 00:00

  • 올해 무허건물 5,600동 철거

    서울시는 22일 올해 무허가건물 5천6백64가구를 철거키로 했다. 철거대상건물은▲표고70m이상의 높은지대▲간선도로변의 가시권지역▲상·하수도시설을 할수없어 재개발이 어려운 지역에 들

    중앙일보

    1980.01.22 00:00

  • 무허 건물 8만7천채 중 5만여채는 양성화

    서울시는 21일 현재 남아 있는 기존 무허가 건물 8만7천7백23채 가운데 84년까지 연차적으로 41.2%인 3만6천1백6채를 철거하고 5만1천6백17채에 대해서는 개량사업을 펴

    중앙일보

    1979.02.21 00:00

  • 무허건물 정리는 「선대책 후철거」 원칙

    서울시는 앞으로 무허가 건물정리는 「선대책 후철거」를 원칙으로 하여 무허가 건물 철거지역이나 불량주택 재개발지역 또는 시가 마련한 택지에 「아파트」를 지어 철거민들을 입주시키는

    중앙일보

    1978.11.11 00:00

  • 수도권 주거용 건물 대지하한 45평으로 높여

    정부는 인구 재배치 계획에 따른 건축규제조치의 일환으로 수도권 안에서 주거용 건축물을 지을 경우 건축용지의 하한선을 현행 27평에서 45평으로 대폭 높이고 건폐율 및 용적율을 대폭

    중앙일보

    1977.03.24 00:00

  • 서울시 주택 사업 부정 많아

    서울시가 지난 한got동안 1백32억4천여만원으로 집행한 시영「아파트」건설 및 주택 개량 사업 중 공사비를 과다하게 계상했거나 부족 시공 등은 모두 45건으로 2억4백38만원의 위

    중앙일보

    1976.10.04 00:00

  • 입주할「아파트」는 완공도 않고 판자촌 철거만 서둘러

    서울시가 판자촌 철거민들이 입주할 시영 「아차트」를 준공치 않은 채 철거만 서둘러 대부분의 철거민들이 졸지에 주거지를 잃어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 또 철거보상비(가구당10만원)을

    중앙일보

    1975.07.08 00:00

  • 장사동 철거민 상가아파트 입주 확인증 무효로 말썽

    『자진 철거하면 새로 짓는 상가「아파트」에 우선 입주시킨다.』고 약속, 종로구청에서 철거민들에게 발부했던 「확인증」이 상가「아파트」준공을 앞두고 무효가 되어 당국이 집을 철거 시키

    중앙일보

    1967.03.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