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총 시즌 달궜던 행동주의, 10전 7패..."올해로 끝 아니다"
갈 길은 아직 멀었다. 올해 3월 주주총회(주총) 시즌을 뜨겁게 달궜던 행동주의 펀드가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대부분의 주주제안이 주총 표 대결에서 무릎을 꿇
-
[이번 주 리뷰] 北, 전술핵 위협…野, 내로남불? 정치탄압? (3월27일~1일)
3월 마지막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北 전술핵 #北 인권보고서 #노웅래 기소 #내수활성화대책 #격리의무해제 #한국축구 평가전 #日,역사교과서 왜곡 #민주당 당직개편 #日 후쿠시
-
‘사랑의 불시착’ 유포…양강도서 공개 총살
통일부가 30일 2017년 이후 북한이탈주민 508명의 증언을 바탕으로 북한 정권의 충격적인 인권 유린 사례를 고스란히 담은 ‘2023 북한인권보고서’를 공개했다. 2016년 북
-
[issue&] 119만원에 호화 유람선! 미뤘던 버킷리스트 ‘크루즈 여행’ 떠나볼까
크루즈여행닷컴 63빌딩 크기의 ‘코스타 셀레나호’ 수영장 등 다양한 부대 시설 갖춰 4일 일정으로 6월 1일 부산서 출발 크루즈여행닷컴에서 호화 유람선 코스타 셀레나호로 부산
-
건설현장 막고 "우리 굴착기 써라"…공정위, 민주노총에 과징금
#지게차 기사인 A씨는 2019년 8월 부산 북항오페라하우스 건설현장에 투입돼 2021년까지 일하기로 했다. 그러자 민주노총 전국건설노조 부산건설기계지부는 A씨에게 “해당 현장에
-
대통령 방미 한달앞…안보실장 전격 사퇴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29일 전격 사퇴했다. ‘고심 끝에’ 사의를 수용한 윤석열 대통령은 곧바로 후임 안보실장에 공관장회의 참석차 귀국한 조태용 주미대사를 내정했다. 이미 김일범
-
[시론] 자유학기제 실패 드러낸 ‘의대 광풍’
박대권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의대 ‘열풍’이다. 고교에 불어닥친 의대 열풍에 대학생까지 합세해 그야말로 광풍(狂風)이 불고 있다. 교육부가 국회 교육위원회에 제출한 ‘2020~2
-
"불길 쇠창살 잠갔다"…'40명 사망' 멕시코 이민청 CCTV 충격
멕시코 국경도시의 이민청(INM)에서 불이 나 이민자 최소 40명이 사망하고 20여명이 다친 가운데 참사 당시 직원들이 출입문을 잠근 채 현장을 벗어났다는 정황이 제기됐다.
-
멕시코 국경도시 이민자 수용소서 불…최소 39명 사망
28일(현지시간) 멕시코 시우다드 후아레스 이민자 수용소 화재로 사망한 이민자들의 시신이 건물 인근에 줄지어 놓여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멕시코 국경도시의 한 이민자 수용시설에서
-
물·전기도 끊길 판…"차라리 폐교됐으면" 꿈 접게한 이 대학 [르포]
28일 오후 경남 진주 문산읍 한국국제대 캠퍼스 내 한 건물 복도에 낙엽과 쓰레기가 가득하다. 안대훈 기자 “차라리 학교가 폐교됐으면 좋겠어요” 28일 낮 12시쯤 경남 진주시
-
노선버스와 택시 장점 합쳤다…DRT가 요즘 주목받는 까닭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미니버스를 활용한 DRT는 승객이 스마트폰 앱으로 원하는 승하차 정류장을 선택하고 호출해 타고 내리는 방식이다. 사진은 지난해까지 서울 은평뉴타운에서 운행된 DRT 서비스 '셔클
-
타깃 되면 주가 치솟는다?…개미 ‘행동주의 사용설명서’ 유료 전용
행동주의는 올 한 해면 흘러갈 유행가가 아니다 올해 3월 시장의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건 ‘행동주의 펀드’였죠. SM엔터테인먼트(이하 에스엠)와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
-
태평양 깨알 같은 섬나라가 덩치 1만3600배 중국에 맞짱 떴다 [지도를 보자]
“607개 섬으로 구성된 이곳은 어디일까요?”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 힌트 「 ①만타가오리, 푸
-
[최인한의 시사일본어] 관제춘투와 만액회답
시사일본어 일본의 2023회계연도는 4월 1일부터 내년 3월 말까지다. 주요 기업들은 신년도를 앞두고 이달 중순 ‘춘투(春鬪·슌토)’를 일제히 마무리했다. ‘춘계 투쟁’의 줄임말
-
양곡법으로 쌀값 안정시킨다지만…전문가 “과잉생산 심해져 하락 우려”
23일 충북 청주의 공공비축벼 보관창고에서 관계자가 쌀의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23일 국회를 통과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 초과생산량이 3~5%
-
[세컷칼럼] 고용노동부를 위한 변명
근로시간제 개편 방안을 내놓고 고용노동부가 동네북이 됐다. 여론이 들끓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4일 보완을 지시했고, 16일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
'매년 1조' 양곡관리법 국회 통과…"과잉 생산·쌀값 하락 우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회 본회의에서 양곡관리법 일부 개정법률안에 대한 수정안이 가결된 것에 대해 법률안에 대한 재의 요구안을 제안한다
-
[시론] 한·일 관계 개선 시동, 역주행 안 된다
이준규 전 주일본 대사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6일 한·일관계 개선의 걸림돌이었던 강제징용 문제 해법을 발표하고, 16~17일 일본을 방문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
-
[오늘의 운세] 3월 23일
2023년 3월 23일 목요일 (윤달 2월 2일) 쥐 - 재물 : 무난 건강 : 양호 사랑 : 행복 길방 : 東南 36년생 산다는 것 자체가 행복. 48년생 오늘이 제일
-
'기절 근무표'까지 나온 주69시간 따져봤다…진실과 오해 5가지
정부의 근로시간 개편안을 두고 논란이 거듭되고 있다. 핵심은 주 최대 69시간이다. 마치 매주 69시간 근무하고, 휴식조차 제대로 취할 수 없는 것처럼 떠돈다. 이걸 조합한 '기
-
[서경호의 시시각각] 고용노동부를 위한 변명
서경호 논설위원 근로시간제 개편 방안을 내놓고 고용노동부가 동네북이 됐다. 여론이 들끓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4일 보완을 지시했고, 16일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주 60시간
-
게임업계 종사자 56% “근로시간 개편? 보상만 되면 OK”
중견 게임사 개발자 A(33)씨는 상품 출시나 업데이트 등을 앞두고 집중적으로 근무하는 이른바 ‘크런치 모드’를 하고도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은 기억이 없다. 포괄임금제를 이유로
-
"주52시간 유연화 좋지만…" 게임업계가 떠는 '공짜 야근' 주범
대한민국 주요 정보기술(IT) 기업이 모인 판교 테크노밸리 전경. 임현동 기자 중견 게임사 개발자 A(33)씨는 출시나 업데이트 등을 앞두고 집중적으로 근무하는 이른바 ‘크런치
-
"이재명 외엔 답 없다" 文 발언에, 野이상민 "우리가 文 꼬붕인가"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중앙일보 문재인 전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에 "이재명 당 대표 외에 답이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자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문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