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서비스 구독자 여러분. 매주 월, 수요일 아침 뉴스 내비게이션 레터 서비스를 통해 주요 시사 현안을 정리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윤석열 정부 들어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한-일 관계가 최대 현안인 징용 이슈를 원만히 해결하고 온전히 정상화될 지 남은 복병과 변수 등을 짚어보겠습니다.


한·일, '중꺾마' 각오 없으면 정상화 기회 '도루묵'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해 11월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에서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한·중·일 삼각관계는 반도·대륙·해양의 차이만큼이나 역사적으로 복잡하고 오묘하게 얽혀서 굴러왔다. 한반도가 대륙세력에 가까울 때는 해양세력의 외침을 받았다.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1895년 시모노세키(下關) 조약 1조에 '중국은 조선국의 완전무결한 독립자주를 확인한다'고 못 박았다. 앞서 일본은 1876년 조선에 강화도 조약을 강요하면서 1조에 '조선은 자주의 나라로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했다. 조선을 대륙에서 떼어놓으려는 일본의 집요함이 반영됐다.

 최근 몇 년의 경험을 돌아보면 3국의 얽힌 관계엔 어떤 패턴이 읽힌다. 한·중이 뜨거울 때는 한·일은 이상하게도 차가웠다. 박근혜 정부 시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는 '오누이'라는 말이 돌았을 정도로 친밀했다. 당시 박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손짓을 본채 만채 하며 애를 태웠다. 문재인 정부 때는 중국을 상전 떠받들듯 저자세로 임했고, 일본에는 죽창가를 부를 기세로 무시했다. 그 대가로 '화이트 리스트' 배제 등 굴욕적 제재를 받았다.

 물극필반(物極必反)이라고 해야 할까. 윤석열 정부 들어 한·중 관계는 역대급 한파가 닥친 것처럼 냉골이다. 한·중 관계는 느닷없는 중국의 비자 발급 중단 같은 사태로 불편하고 혐중 정서가 거세지고 있다. 반면 한·일 관계에는 다시 봄바람이 불 것 같은 분위기다.

 윤 대통령이 일본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미·중 패권 경쟁의 영향이 작용하는 형국이다. 중국의 부상을 억누르려는 미국이 한국과 일본을 끌어들이는 구심력이 워낙 강하기에 불편한 한·일 관계를 계속 방치할 수 없다는 전략적 판단을 한·미·일이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처음이라면, 첫 달 무료!

인사이트를 원한다면 지금 시작해 보세요

지금 무료 체험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