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서비스 구독자 여러분. 매주 월, 수요일 아침 뉴스 내비게이션 레터 서비스를 통해 주요 시사 현안을 정리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도 이태원 참사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태원은 윤석열 정부의 세월호가 될까요

이태원 참사 현장을 둘러보는 윤석열 대통령

구독자 여러분께 지난 월요일 뉴스레터를 보내고 나서 조금 찜찜했습니다. 제목이 '이태원 참사 놓고, 벌써 싸움 벼르는 의원님들께'였습니다. 정쟁 대신 참사 재발 방지에 집중하자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나 책임 규명이 중요치 않다는 뜻으로 오해될까봐 걱정이 됐습니다.

아닌 게 아니라, 정부의 책임 회피성 발언이 나왔습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경찰과 소방 인력 배치 부족이 사고 원인이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정확한 사고 원인 파악이 먼저"라는 취지였겠지요. 그러나 국민 귀에는 '분위기 파악 못 한' 변명으로 들렸습니다. 공감 대신 법 논리에 익숙한 법조인 출신의 한계일까요.

세월호 참사는 박근혜 정부 몰락의 전조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래서일까요, 윤석열 정부는 이태원 참사가 세월호처럼 정치적 위기로 번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입니다.

대통령실이 '신속하고 투명한 대응'을 유난히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세월호 때 불거졌던 '대통령의 7시간' 논란을 의식한 측면이 다분합니다. 사고 발생 1시간만인 29일 밤 11시 30분 첫 지시, 다음 날 새벽 1시 용산 지하 벙커 출근, 새벽 2시 40분 정부서울청사 상황실 이동, 오전 9시 45분 긴급 담화 발표 등이 숨 가쁘게 이루어졌습니다.

이태원 참사는 과연 윤석열 정부의 세월호가 될까요. 둘 다 비극적 사고임은 다름이 없지만, 전개 과정은 차이가 있습니다. 세월호는 사고 발생부터 수색 중단 선언까지 209일이 걸렸습니다. 그 기간 온 국민의 눈이 팽목항에 쏠렸습니다. 정부 무능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이에 비해 이태원 참사는 이미 수습 단계입니다. 원인 및 책임 규명 절차가 남아 있지만, 바닷속에 잠긴 세월호와는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