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北.中,교류 활발해진 경제.외교분야

    지난해 8월 韓中수교와 중국의 硬貨결제 요구에 따라 급속히 냉각됐던 북한-중국 관계가 경제.외교분야등에서 정상화의 조짐을보이며 밀월관계를 복원해가고 있다. 北中간의 이같은 움직임은

    중앙일보

    1993.11.30 00:00

  • 7.주민왕래

    연변 조선족자치주 용정시에서 남쪽으로 1백여㎞ 떨어진 두만강중류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 건너편 중국의 三合통상구 세관앞 마당의 어느날 아침. 친.인척방문과 장사를 목적으로 북한에 가

    중앙일보

    1993.09.15 00:00

  • 1.백두산 이깔나무숲의 국경비

    韓民族의 淵源 백두산과 두만강.압록강을 잇는 北韓-中國국경 삼천리.백두산에서 발원하여 北韓과 中國.沿海州까지 삼천리 험난한 길을 쉼없이 내달리며 수백갈래의 크고 작은 지류들을 받아

    중앙일보

    1993.08.24 00:00

  • 함경북도

    1952년 행정구역 개평당시의 함경북도는 3개 시(청률·나율·김책)와 19개 군(김책 길주화태 명천 영안 어랑 경성 삼사 연사 부령 무산 유선 회령 종성 나진 웅기 경원 경흥 온성

    중앙일보

    1989.03.10 00:00

  • (4210)-제 81화 30년대의 문화계(143)|나운규

    복혜숙이 영화배우로 출세하기까지 고난이 연속된 기구한 생활을 해왔듯이 나운규도 이에못지않은 고난을 겪어 왔다. 나운규는 1902년 함경북도회령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 나형권은 구한

    중앙일보

    1985.01.12 00:00

  • (10) 항일의 해외기지(1)

    한국병합을 전후한 일본군의 무자비한 의병 초토작전에 밀려 간도와 연해주등 국경너머에는 일찍부터 무장항쟁의 기지가 되었다. 일본의 한국병합이 도오교-베를린­모스크바를 거쳐 블라디보스

    중앙일보

    1983.05.23 00:00

  • 북한의 수용소군도

    북한전체가 거대한 「수용소군도」임은 누구나 익히 알고있는 사실이나 최근 월남한 귀순자들의 증언을 종합해 볼때 그들의 독재대상구역은 바로 「인간지옥」임을 거듭 실감시켜 준다. 독재대

    중앙일보

    1982.04.13 00:00

  • (869)|골동품비화 40년(10)-제주도서 온 청자

    도굴하면 청일 전쟁이후 한일합방 당시까지 일인들이 개성 언저리의 청자를 마구 쑤셔간 때를 전성기로 봄직하다. 그러나 그때는 우리나라 사람이 골동에 눈을 뜨기도 전이어서 부지부식간에

    중앙일보

    1973.10.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