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부산 거주 2명 ‘우한 폐렴’확진자와 같은 비행기 이용…“능동 감시 중”

    부산 거주 2명 ‘우한 폐렴’확진자와 같은 비행기 이용…“능동 감시 중”

    2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입국장에서 인천공항 위생소독용역 직원들이 '우한 폐렴'에 대비한 소독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중국 우

    중앙일보

    2020.01.21 17:19

  • '우한 폐렴' 베이징까지 퍼졌다···주말만 136명 급증. 확산 공포

    '우한 폐렴' 베이징까지 퍼졌다···주말만 136명 급증. 확산 공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우한(武漢) 폐렴 환자가 마침내 베이징에서도 발생했다. 홍콩에 이웃한 중국 남부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에서도 확진 판정 환자가 나와 신종 폐렴이 이

    중앙일보

    2020.01.20 11:17

  • [세상읽기] 다가올 제2 메르스 사태와 한국

    [세상읽기] 다가올 제2 메르스 사태와 한국

    [일러스트=김회룡] 빅터 차미국 조지타운대 교수 이슬람의 연례 순례 기간인 하지가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에서 21일 시작된다. 하지가 한국하고는 무슨 상관일까. 한국도 하지를 주시할

    중앙일보

    2015.09.18 00:46

  •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세계를 휩쓴 전염병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세계를 휩쓴 전염병

    정원엽 기자 세계보건기구(WHO)가 분류하는 전염병의 등급은 총 6단계. 1단계인 감염성 질환부터 6단계인 판데믹(Pandemic) 단계까지 있죠.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중앙일보

    2015.06.08 00:25

  • [박태균 칼럼] 입국 금지 → 에볼라 차단은 착각

    [박태균 칼럼] 입국 금지 → 에볼라 차단은 착각

    1999년 여름, 미국 뉴욕에선 수많은 까마귀들이 죽은 채 발견됐다. 몇 달 후 뉴욕 시민들이 원인 불명의 뇌염에 걸려 숨지기 시작했다. 뉴욕에 뇌염을 유행시킨 바이러스는 웨스트나

    온라인 중앙일보

    2014.08.10 02:43

  • [박태균 칼럼] 입국 금지 → 에볼라 차단은 착각

    [박태균 칼럼] 입국 금지 → 에볼라 차단은 착각

    1999년 여름, 미국 뉴욕에선 수많은 까마귀들이 죽은 채 발견됐다. 몇 달 후 뉴욕 시민들이 원인 불명의 뇌염에 걸려 숨지기 시작했다. 뉴욕에 뇌염을 유행시킨 바이러스는 웨스트

    중앙선데이

    2014.08.10 02:37

  •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13) 사스(SARS) 대책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13) 사스(SARS) 대책

    2003년 4월 28일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 열린 사스(SARS) 대책 관련 민·관 합동협의회. 사스 방역을 도와달라고 정부가 민간 의료단체에 요청하는 자리였다. 참석자들

    중앙일보

    2013.02.28 00:46

  • "中 베이징 사스 한풀 꺾였다"

    세계 최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창궐 지역의 하나인 중국 베이징에서 새로운 감염자가 일정 수준으로 억제돼 사스 확산 속도가 한풀 꺾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중앙일보

    2003.05.22 10:49

  • 보건원 "강제 격리를" 서울시 "대상 아니다"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환자에 대한 격리조치가 겉돌고 있다. 자택격리에 불응하는 사례까지 생기고 있지만 강제격리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방역당국과 격리 집행기관인 지방

    중앙일보

    2003.04.25 10:13

  • 보건원 "강제 격리를" 서울시 "대상 아니다"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환자에 대한 격리조치가 겉돌고 있다. 자택격리에 불응하는 사례까지 생기고 있지만 강제격리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방역당국과 격리 집행기관인 지방

    중앙일보

    2003.04.24 18:56

  • 加 학자들, 사스바이러스 유전자 해독 주장

    캐나다의 과학자들이 사스(SARS,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의 병원균으로 여겨지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암호를 풀었다고 밝혔다. 호주 ABC 방송 인터넷판은 13일 캐나다 과학자들의 이

    중앙일보

    2003.04.14 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