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서비스 구독자 여러분. 매주 월, 수요일 아침 뉴스 내비게이션 레터 서비스를 통해 주요 시사 현안을 정리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독립운동가 최재형(1860-1920) 선생과 부인 최 엘라네 페트로브나(1879-1952) 부부에 얽힌 사연, 103년 만에 국립서울현충원에 합장된 배경을 살펴봤습니다.


103년 만에…독립운동가 최재형 부부의 감동적 '해후'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페트로브나. [국가보훈부]

8·15 광복절을 하루 앞둔 오늘(14일)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운동가 묘역 108번 자리에서 무려 103년 만에 해후(邂逅)하는 부부가 있다.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로 불리는 최재형(1860~1920)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페트로브나(1879~1952) 여사가 주인공이다.

두 사람의 인생 역정은 외세의 침략으로 나라를 잃은 구한말과 일제 식민지 시대의 비극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함경북도 경원 출생인 최 선생은 굶주림과 수탈을 피해 부모를 따라 연해주로 이주했다. 하와이보다 앞선 이민 1세대였다. 가출한 최 선생은 러시아 선장 부부에게 입양됐고 배를 타고 6년에 걸쳐 두 번 해외를 일주했다. 그 경험으로 성인이 되면서 군납 사업을 벌여 막대한 부를 일궜다.

자수성가한 사업가로서 충분히 호의호식하며 편하게 살 수도 있었지만, 그는 고생스러워도 더 뜻있는 인생을 선택했다. 만주를 거쳐 연해주로 이주한 동포들을 위해 학교를 수십 개 설립하고 '대동공보'를 발행해 항일 의식을 고취했다. 최 선생은 안중근(1879~1910) 의사 등과 함께 1908년 항일조직 동의회(同義會)를 설립했다. 안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한 권총을 지원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도왔다. 1919년 4월 11일 상하이에서 출범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초대 재무총장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항일 운동의 근거지였던 연해주를 공격한 일본 군대에 의해 최 선생은 1920년 4월 7일 총살됐다. 일제는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숨긴 것처럼 최 선생의 유해를 감췄다. 103년이 지난 지금도 찾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