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서비스 구독자 여러분. 매주 월, 수요일 아침 뉴스 내비게이션 레터 서비스를 통해 주요 시사 현안을 정리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MBC 취재진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 배제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MBC 탑승 배제, 너무 쉽게 생각하신 거 아닙니까

전용기에서 내리는 윤석열 대통령 부부

이번에도 '순방 징크스'인가요. 윤석열 대통령의 세 번째 해외 순방길도 시작부터 소란스러웠습니다. MBC 취재진의 전용기 탑승 배제를 놓고 말이 많습니다. 순방 목적보다 이 문제에 더 관심이 몰릴 지경입니다. 한국기자협회·한국신문협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서울외신기자클럽 등 여러 언론 단체들이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이런 비판에도 여당 내 '친윤' 세력은 대통령실 결정을 옹호합니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김대중 정부 때는 청와대가 기자들의 출입을 금지한 적 있고, 노무현 정부는 기자실을 대못질한 사례가 있다”고 했습니다. 과거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는데, 무슨 문제냐는 태도입니다.

여당이 든 몇몇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동아일보 오보 및 취재 수행 배제 : 1995년 10월 11일 동아일보가 김영삼 대통령의 부인 손명순 여사가 백화점에서 쇼핑하다 8000만원을 소매치기당했다는 보도를 했습니다. 청와대는 동아일보 관계자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사흘 뒤 정정보도를 내면서 손 여사에 대한 사과문까지 게재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16일부터 예정됐던 김 대통령의 캐나다·UN 방문 수행취재단에서 동아일보를 제외했습니다.

 -DJ 청와대 본관 출입 제한 : 1998년 김대중 정부 들어 박지원 대변인이 당시만 해도 비교적 자유롭던 비서실 방문 취재를 금지했습니다. 대신 정례 및 수시 브리핑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기자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청와대는 춘추관에서 비서실 건물 쪽으로 통하는 출입문을 오전·오후 1시간씩만 개방하는 타협책을 제시했습니다.

 -노무현 정부의 기자실 폐쇄 : 2003년 노무현 정부는 기자실 담합을 없앤다며 '개방형 브리핑룸' 제도를 실시했습니다. 기자들의 사무실 임의 출입도 금지했습니다. 2007년에는 부처별로 설치돼 있던 브리핑실과 기사송고실마저 없애고, 서울·과천·대전 정부청사 3곳에 합동브리핑센터를 설치했습니다. 말은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였지만, 사실상 취재 제한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