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플] 쇼핑ㆍ금융 다 가진 네이버의 플랫폼 파워, ‘부동산’서 꽃피나

중앙일보

입력 2022.09.18 09:0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부동산 '우리집 서비스'. 사진 네이버

‘조용한 강자’ 네이버가 부동산에서 움직인다. 실소유·거주 여부가 인증된 아파트·빌라 주민이 동·호수별 시세 확인, 단지 정보 공유, 세금 납부까지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쇼핑·금융·부동산 분야 플랫폼을 다 가진 네이버의 저력이 발휘될지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무슨 일이야

16일 네이버 부동산은 거주·소유한 집에 대한 정보를 한곳에 모은 ‘우리집 서비스’를 새로 열었다고 밝혔다. 실거주·소유 부동산의 동·호수를 입력하면, 해당 주소의 시세를 확인하고 단지 공지사항이나 실거주자 후기 같은 주거생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네이버 부동산에 등록된 주변 매물정보도 한 번에 볼 수 있다.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와 연계해 재산세·주민세 고지서를 확인하고 세금도 바로 낼 수 있다.
 

이게 왜 중요해

시세 정보에 주거생활 정보, 커뮤니티 기능까지 담은 부동산 플랫폼이, 새로 앱을 설치할 필요도 없이 쓰던 네이버에 펼쳐지는 것. 게다가 ‘이용자의 실제 거주지’라는 강력한 정보가 있다.
 
① 하나의 서비스로
네이버의 우리집 서비스는 기존 사업자들이 각각 하고 있는 부동산 관련 서비스를 합한 것이다. 내 부동산 정보를 입력해 시세변동을 보여주는 서비스는 토스에도 있고,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서비스는 직방·아파트너 같은 프롭테크(부동산+테크) 앱에서, 실거래가 확인은 아실(아파트 실거래가) 앱에서도 할 수 있다. 재산세 확인 및 납부는 카카오페이·페이코(NHN)에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네이버의 강점은 이 모든 것을 연결해 하나의 서비스에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네이버는 아파트 단지·평형별 시세가 아닌,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받은 동·호수별 시세를 보여준다. 


② 정보는 쉽게 확보하고
부동산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내가 실제로 사는 집의 동·호수와 주거 형태(자가·전세·월세), 매입가 및 보증금·월세까지 입력해야 한다면 회원가입을 포기할 이도 많다. 개인이 플랫폼에 선뜻 제공하기 꺼릴 만한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 그렇게 입력한 주소에 실제로 해당 사용자가 거주하는지를 플랫폼이 확인하는 것은 더 어렵다. 직방·아파트너는 아파트 입주자대표나 관리사무소를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계약을 하고, 주민의 실거주 확인도 이들을 통해서 한다.
 
그런데 네이버는 주소와 실거주 여부 정보를 상대적으로 쉽게 확보한다. 기존에 쇼핑·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받은 회원 정보를 연계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네이버 가입자가 로그인한 상태로 우리집 서비스를 시작해 주소를 등록하려 하면, 네이버 쇼핑이 보유한 회원 주소가 자동으로 보이고, 해당 주소로 실제 배송을 받아본 적이 있다면 실거주 여부도 이것으로 인증된다. 네이버파이낸셜의 ‘내 자산’ 서비스에서 부동산 정보를 입력한 회원 정보 역시 우리집 서비스 가입 시 연동된다. 만약 이런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다면, 주소가 적힌 우편물이나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 사진을 찍어서 올리면 네이버의 AI 문자판독기술 클로바OCR이 주소를 추출해 인증한다. 프롭테크 업계 관계자는 “가진 게 많은 네이버가 오래 준비한 기획인 것 같은데 타격을 조심해야겠다”며 긴장감을 보였다.
 
③ 실거주 인증, 로컬의 힘
중고거래 앱에서 로컬 플랫폼으로 성장한 당근마켓의 경우, 행정동 단위의 위치 인증이 있을 뿐 ‘OO아파트’ 같은 구체적인 거주지 인증은 없다. 그런데 네이버 우리집 서비스 이용자가 늘어난다면 네이버는 단번에 로컬 서비스의 강자로 떠오를 수 있다. 이른바 ‘업자’가 아닌 실거주민의 리뷰가 있는 부동산·지역 플랫폼으로 정보도 이용자도 더 모이기 마련이기 때문. 네이버는 2020년 말 ‘이웃 서비스’를 출시한 후 지역 중고거래와 리뷰·카페 같은 서비스를 늘려 왔다. 
 

네이버 부동산 '우리집 서비스'

 

더 알면 좋은 점

부동산 정보는 가입자의 다른 정보와 결합할 때 더 강력해진다. 이론적으로, ‘은마아파트 34평형 7억 전세 입주자가 온라인으로 자주 구매하는 상품’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얘기. 네이버 우리집 서비스를 처음 이용할 때 개인정보 제공 동의 절차를 거치는데, 이용자의 주소지와 주거 형태, 매입가(보증금) 등의 정보를 맞춤 광고 제공이나 회사의 신규 서비스 발굴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네이버 측은 “부동산 가격은 회원의 자산 가치 변동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하는 것이며, 데이터를 타인에게 정보로 제공하거나 통계내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정부 정책은 이런 정보를 개인이 누구인지 알아볼 수 없게 만든 뒤 민간이 활용할 수 있게끔 바뀌고 있다. 지난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 첫 회의에서도 이 내용이 발표됐다. 앞으로는 민간 결합전문기관도 자사 가명정보와 외부 정보를 결합해 가공,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배너 클릭 시 팩플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www.joongang.co.kr/factpl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