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은 없다" 알바 없이 가족 셋이 편의점 운영…한 달 수익은?

중앙일보

입력 2022.08.23 02:00

수정 2022.08.23 11:21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서울의 한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생이 물품을 정돈하고 있다. 뉴스1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지 않고 가족 셋이서 편의점을 운영한다는 점주가 휴일 없이 일하지만 한 달 순수익이 800만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1인당 약 270만원의 월급을 받아가는 셈이다. 
 
지난 21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현직 편의점 점주 폐기'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점주 A씨는 "하루에만 폐기 상품이 총 14개가 나왔다"고 밝히며 삼각김밥 9개, 도시락 2개, 김밥 3개가 올려져 있는 매대의 사진을 공개했다.

 
해당 사진을 본 네티즌이 "아르바이트생들에게 나눠 주는 것이 어떻냐"고 묻자 A 씨는 "아르바이트 한 명 없이 가족 3명이 함께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A씨는 "해당 편의점은 전기 사용료, 임대료 등을 다 냈을 때 순이익이 800만원 정도 나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턱대고 편의점 운영하는 것은 말리고 싶다"라며 "운영하는 동안 휴일이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온라인상에 게시된 편의점 점주의 유통기한 지난 식품 폐기. 사진 온라인커뮤니티 캡처

 
또 "이전에는 작은 슈퍼를 운영했는데 물건 발주할 곳이 다 없어져 대안을 찾던 중 편의점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A씨는 "이때 발생한 초기 자본은 대략 1500~3000만원 정도가 소요됐다"며 "프랜차이즈 편의점을 운영하면 월 매출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명 프랜차이즈 편의점의 경우 'G'사와 'C'사의 경우 월 30%, 'E'사는 월 40% 정도 된다"며 자신은 30%를 납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때문에 폐기 상품이 나올 때마다 아까운 마음에 밥도 안 사 먹고 끼니로 때운다"며 "폐기 상품은 하루 평균 5개 이상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상품 기한이 짧아 폐기가 유독 많은 도시락과 김밥의 경우 구색 맞추기용"이라며 "편의점 상품 중 이윤이 많이 나오는 것은 음료수들이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 어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