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재창당 수준 혁신…전대 룰 개정, 모든 의견 열려있어”

중앙일보

입력 2024.05.04 01:19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황우여 국민의힘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전 취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4·10 총선 참패를 수습하는 막중한 책임을 진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재창당 수준을 뛰어넘는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황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취임 기자회견을 갖고 “뭐든 바꿀 수 있다는 열린 자세로 국민이 ‘됐다’고 할 때까지 쇄신하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전날 전국위에서 비대위원장으로 추인된 황 위원장은 6월 말 또는 7월 초 개최하는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가 뽑힐 때까지 국민의힘을 이끈다.
 
황 위원장은 “우리가 ‘관리형 비대위’여서 전당대회 준비만 한다면 국민의 큰 질책을 받을 것”이라며 “관리와 혁신을 구별하지 않고 당헌·당규에 따라 주어지는 당무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당장 과제는 전대 룰 개정 여부다. 김기현 전 대표를 선출한 지난해 3·8 전대를 앞두고 국민의힘은 “당심이 곧 민심”이란 명목으로 당원만이 투표권을 행사하도록 바꿨다(‘당원 100%’). 친윤계가 주도했는데 유승민 전 의원 등 비윤계 인사를 지도부에서 배제할 목적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선 2006년부터 적용했던 ‘당원투표 70%, 국민 여론조사 30%’로 회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다. 비윤계 당권 주자들도 “민심을 섞어야 한다”(나경원)라거나 “민심 반영 비율이 30~50%는 돼야 한다”(안철수)고 주장한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100% 일반 여론조사로 뽑으면 그게 제일 베스트 오브 베스트”라고 거들었다. 황 위원장은 “모든 의견을 열린 상태에서 다 모아서 당헌·당규 개정 요건에 맞으면 개정할 것이고, 그 절차는 공정하고 불편부당하게 할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쟁점은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 여부다. 새누리당 시절인 2016년 20대 총선 패배 후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단일 지도체제가 도입됐다. 중량급 인사로 구성된 지도부(대표최고위원, 최고위원)가 공개석상에서 치고받는 일이 잦아서 내린 처방이었다. 하지만 대표에게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되고, 최고위원 등 여타 지도부의 위상은 떨어지는 문제가 드러났다. 특정 계파가 지도부를 독식해 내부 견제에도 이상이 왔다는 지적도 있다. 황 위원장은 “의견마다 장단점이 있어 당선인과 당원에게 의견을 묻는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위원장은 9일 뽑히는 새 원내대표와 논의해 비대위원을 인선한다. 7~9명의 비대위원 중 임명직 4명에는 여성과 청년, 이번 총선에서 낙선한 당협위원장을 우선 배치할 계획이다. 정치 신인이 다수였던 한동훈 비대위와는 달리 정치 경험이 풍부한 인사를 전면 배치하겠다는 의도가 강하다. 황 위원장은 “일머리, 일솜씨가 있는 분들을 모셔서 할 일을 신속히 처리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9일 치러지는 원내대표 경선에 송석준(경기 이천, 3선) 의원에 이어 이종배(충북 충주, 4선) 의원이 출마를 선언했다. 이 의원은 3일 “민생을 챙기고, 대한민국 발전을 이끌어야 하는 집권여당의 책무를 포기할 수 없다”며 도전 의사를 밝혔다. 송 의원은 전날 도전장을 냈다. 현재 대구·경북에서 4선 김상훈 의원을 비롯해 3선의 추경호·송언석, 부산·경남에선 4선 박대출·윤영석 의원 등도 후보군으로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