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셀프수사 논란...대통령실 "의혹 남는다면 다른 방안 고민"

중앙일보

입력 2022.11.03 17:00

수정 2022.11.03 17:0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경찰이 '이태원 참사' 당시 지휘부 보고를 늦게 한 책임을 물어 총경급 경찰 간부 2명을 대기발령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사진은 3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로비.

대통령실이 ‘이태원 참사’ 관련 경찰의 ‘셀프 수사’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국민적 의혹이 남는다면 다른 방안을 고민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3일 오후 브리핑에서 ‘경찰 부실대응에 대한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 경찰이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며 대통령실의 입장을 묻는 취재진 말에 “경찰에서 자신들의 치부 드러낼 정도의 각별한 각오로 이 상황을 엄중하게 볼 거라고 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경찰 수뇌부가 이 사안을 늦게 인지, 지연 보고로 인해 제대로 된 대응이 이뤄지지 않은 것 아니냐는 국민 우려가 일고 있다”며 “그래서 고강도 감찰과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국민들이 우려하는 문제에 대해 한 점 의혹이 남지 않도록 철저한 감찰과 수사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 지금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왼쪽은 이상민 장관. 뉴스1

 
이 관계자는 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경질 요구가 나오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이 장관에게 희생자 조문에 동행하라고 한 데 대한 의미를 묻는 말에 “행안부는 재난 안전사고의 주무 부처다. 그 이상 이하의 의미는 없다”며 “어떤 다른 해석을 할 이유가 없단 걸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경찰의 이태원 참사 사건 대응에 대한 감찰을 진행 중인 경찰청 ‘이태원 참사 특별감찰팀’은 이임재 전 서울 용산경찰서장과 류미진 전 서울경찰청 인사과장의 사건 당일 업무 태만을 확인했다고 판단했다. 이에 경찰청은 이 전 서장과 류 전 인사과장에 대해 각각 대기발령 조치했다.


그러나 야당을 중심으로 이 같은 조치는 ‘꼬리 자르기’에 불과하다며 윗선인 윤희근 경찰청장과 이상민 행안부 장관 등에 대한 경질 요구가 나오고 있다.

이런 기사 어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