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탄도미사일 기술 접목한 방사포…북·미대화 압박 ‘과거 회귀’ 메시지

중앙일보

입력 2019.11.30 00:21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8일 함경남도 연포에 위치한 국방과학원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초대형 방사포 시험 사격을 실시했다고 2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29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이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와 관련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접목한 방사포”라고 말했다. 복수의 정보위 소속 의원들에 따르면 해당 발언은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가 사실상 탄도미사일인데 왜 한국은 방사포라고 칭하는냐”는 질의에 대한 답변 과정에서 나왔다.
 
서 원장은 “북한이 방사포라고 하니까 우리도 방사포라고 한다”며 “탄도미사일 기술을 접목한 방사포다. 발사 체계가 다연장 발사 체계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탄도미사일임을 인정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지난 7월 말 북한의 도발에 대해 합참이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 했지만 북한이 곧 “대구경 조종 방사포를 시험 사격했다”고 발표해 논란이 됐다. 서 원장은 다만 북한이 언제 쏘아 올린 ‘방사포’를 일컫는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고 한다.

발사 간격 3분에서 30초로 단축
“군사합의 위반, 정전협정은 안 어겨”

서 원장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이유에 대해서는 “연말까지 북·미 대화에서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는 메시지를 미국과 한국을 향해 보내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보고했다고 이혜훈 정보위원장이 전했다. 또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발사는 이번이 4번째로 연발 사격 능력을 시험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고 보고했다고 한다. 약 3분이었던 발사 간격이 약 30초로 단축됐다는 설명이다.
 
서 원장은 지난 2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지시로 서해 접경 지역에서 발사된 해안포에 대해선 “남북 군사합의 위반은 맞지만 정전협정 위반이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남쪽을 향해 쏜 것도 아니고 76㎜ 소형 해안포를 쏜 것을 보면 북한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고심한 게 아닌가 싶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연내 다양한 형태의 도발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고 한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