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서울 호우 500년에 한번 꼴 이변…"유럽 홍수와는 차원이 달라"

중앙일보

입력 2022.11.18 15:57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지난 8월 8일 밤 시간당 70~90mm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서울 강남구 신사역 일대 도로가 물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지난 8월 8일 서울 일부 지역에 내린 시간당 141㎜의 집중호우는 500년에 한 번 발생하는 기상이변으로, 지난해 독일·네덜란드 홍수와는 차원이 다른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비가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단순 예보에 그칠 것이 아니라 시민들에게 어떻게 대처하고 대피할 지까지 알려주는 비상 대처 계획이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런 지적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국 강 살리기 네트워크와 한국수자원학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우원식·이수진(비례) 의원의 공동주최로 열린 '기후위기 시대 홍수재해 진단과 개선 포럼'에서 제기됐다.
 

시간당 100㎜…'과거와 다름' 인식해야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기후위기 시대 홍수 재해 진단과 개선 포럼' 토론회 모습. 강찬수 기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토론회 주제발표에서 "지난해 네덜란드 홍수 때에는 최대 강우 강도가 시간당 40㎜, 48시간 동안 강우량은 128㎜를 기록했는데, 지난 8월 서울에서는 최대 강우 강도가 시간당 141㎜, 24시간 동안 강우량이 434㎜를 기록해 차원이 달랐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8일 오전부터 집중호우가 예상됐지만, '주의하라' 수준의 예보만 나왔고, 반지하 등 침수 예상 저지대 주민의 대피나 침수 대비 교통 차단 등 구체적인 대처 방안 제시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01년 이후 과거와 다른 집중호우가 지속해서 발생하는데, '과거와 다름'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간당 100㎜ 이상의 강우 때는 새로운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8월 서울 홍수의 경우도 시간당 50㎜의 비가 내린 도봉구에서는 피해가 별로 없었던 것에 비해 시간당 70~90㎜의 비가 내린 강남구나 시간당 141㎜를 기록한 동작구의 경우 피해가 심각했다.
 

지방하천엔 낮은 홍수방어 기준 적용

태풍 힌남노가 지나간 지난 9월 6일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냉천 주변 둑이 거센 물살로 침식돼 있다. 연합뉴스

김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8일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강찬수 기자

김 위원은 태풍 힌남노 당시 포항지역 침수 피해와 관련, 냉천의 경우 홍수계획 빈도가 80년이었는데, 포항제철 등 보호해야 할 시설과는 무관하게 지방하천이란 이유로 대책 수준을 너무 낮게 설정했다"고 비판했다.

 
국가 하천의 경우 200년 이상 빈도, 즉 200년에 한 번꼴로 발생하는 홍수에도 대비하도록 설계하지만, 지방하천의 경우는 50~200년 빈도에 대비하도록 홍수방어 기준을 정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신월 대도심 터널(빗물 저류시설)의 경우 시간당 100㎜ 때 침수예방을 위해 설치했지만, 지난 8월 8~9일 시간당 18~53mm의 비가 내렸을 때도 가동했고, 저류량 32만㎥의 70%를 채웠다.
만약 뒤늦게 시간당 100㎜ 비가 쏟아졌다면, 저류 공간이 없어 대처를 못 했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김 위원은 "현재는 하수관거 수위를 기준으로 저류를 시작하는데, 100㎜ 강우에 맞춰 운영할 수 있는 지침과 정교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모든 홍수 막을 수는 없어"

서울 신월 대심도 빗물 저류 배수시설.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은 지하 40~50m에 큰 터널을 만들어 폭우가 올 때 빗물을 보관하고 하천으로 방류하는 시설이다. 사진은 연합뉴스 [서울시 제공]

18일 토론회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는 권현한 세종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강찬수 기자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세종대 건설환경공학과 권현한 교수도 "유럽 홍수와 한국 홍수는 차원이 다르기 때문에 유럽에서 제시된 홍수 대책을 국내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획일적인 접근이 아니라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대책을 개발해야 한다"며 "수리 수문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홍수 방어 목표를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수 방어 시설을 설치해 피해를 막는 구조적 대책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빗물이 땅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그린 인프라(GI)나 저영향개발(LID) 등 비구조적 대책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모든 홍수를 막을 수 없다는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고, 엄중한 상황에서는 시민들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대피하는 등의 노력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편, 지난 9월 초 환경부에 설치된 '도시 침수 대응 기획단'은 연말까지 홍수 피해 방지 종합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