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로 달리는 교통] ‘도심 속도 하향정책’ 성공적 안착…보행자 교통 사고·사망 크게 감소

중앙일보

입력 2020.09.14 00:04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교통사고 예방활동과 안전교육을 시행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전경. [사진 한국교통안전공단]

 차량의 운행속도를 10km/h만 줄여도 교통사고 사망률은 많이 감소한다. 속도의 차이는 작지만, 안전의 차이는 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공단)이 국내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의 해법은 ‘도심 속도 하향정책(이하 안전속도 5030)’의 성공적인 정착이라고 최근 밝혔다. 안전속도 5030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심부 내 일반도로의 제한속도를 시속 50km로, 주택가 등 이면도로는 시속 30km 이하로 하향 조정하자는 정책이다.

공기업 시리즈 ① 교통
한국교통안전공단

 차량의 속도가 느려지는 만큼 제동거리는 짧아지고,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에게 미치는 충격이 줄어들어 보행자 교통 사망사고 감소에 효과적이다. 실제로 공단 분석 결과 안전속도 5030은 교통안전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동거리는 시속 80km에선 58m, 60km에선 36m, 50km에선 27m로, 속도가 느려질수록 많이 감소했다. 보행자 충돌시험에서도 시속 60km로 충돌 시엔 중상 가능성이 92.6%로 보행자가 사망할 확률이 매우 높았으나, 50km에선 72.7%, 30km에선 15.4%로 낮아졌다.
 
 지난해 서울 종로(세종대로 사거리~흥인지문교차로)에서 안전속도 5030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보행자 교통사고는 15.8%, 보행사고 중상자는 30.0% 감소했다. 경찰청에서 안전속도 5030을 도입한 전국 68개 구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전체 사고 건수는 13.3%, 사망자 수는 63.6%가 감소했다.
 
 공단은 내년 4월 17일부터 전면 시행하는 안전속도 5030의 성공적인 안착과 체계적인 제한속도 하향을 위해 지난해부터 ‘Help Desk’를 운영하고 있다. 경찰 및 지자체에 대한 기술적 지원을 위한 창구다.


 공단은 또 안전속도 5030 정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확산 및 인지도 향상을 위해 대국민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7월 안전속도 5030 정책의 인지도는 68.1%로 조사됐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단은 20·30세대가 운전 시 주로 이용하는 모바일 내비게이션 업체와 협업, 안전속도 5030 관리구역 음성안내 및 이미지 표출을 통해 인식 제고를 유도한다. 또 유튜브·SNS 등을 활용한 대국민 참여 이벤트 등을 진행해 제한속도 하향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자발적인 속도 하향을 유도한다.  
 
중앙일보디자인=김재학 기자
 
kim.jaiha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