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도 그 말 썼는데…심상정 "피해호소인 표현 부적절"

중앙일보

입력 2020.07.16 11:06

수정 2020.07.16 11:3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 여권과 서울시 등에서 사용한 ‘피해호소인’이라는 용어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피해자’로 명명하는 것이 옳다”며 ‘피해호소인’이라고 고소인을 지칭한 서울시의 사건 해결 의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16일 오전 심 대표는 SNS에 “‘피해호소인’ 등의 표현은 상대를 아직 피해자로 인정할 수 없다는 뜻으로 이해될 수 있기에 적절치 않다”며 “피해자가 위력에 의한 성추행 피해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힌 만큼 ‘피해자’로 명명하는 것이 옳다”고 적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올린 글. 트위터 캡처

관련기사

그는 서울시가 하루 전 발표한 ‘직원 인권침해 진상 규명에 대한 서울시 입장’에서 ‘피해호소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도 문제 삼았다. “(서울시가) 피해자를 ‘피해호소직원’이라고 지칭하는 한편, ‘성추행’이라는 표현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심 대표는 “서울시의 사건해결 의지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또 “서울시는 스스로 ‘조사대상’임을 망각하고 있는 듯하다”고 비판을 거듭했다. ▶피해자는 서울시 내부에 피해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했지만 묵살·방조 됐고▶이 과정에서 심각한 노동권 침해가 발생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심 대표는 서울시가 호칭부터 ‘피해자’로 바로잡아야 한다면서 “산하기관에 요구해온 성폭력 무관용의 원칙을 스스로 적용해 진정성을 보이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에도 무한책임의 자세를 요구했다. 그는 “이해찬 대표가 통절한 사과를 하면서도 당 차원의 진상 조사 계획은 없다면서 진상조사의 책임을 서울시에만 떠넘겼다”며 “진상규명과 성폭력 근절을 위한 재발 방지 대책을 신속히, 책임 있게 내놓기 바란다”고 밝혔다.
 
심 대표는 “정의당도 초기에 언론을 통해서만 사건을 접했을 때 ‘피해호소인’이라는 말을 잠시 쓴 적이 있지만 이후로는 ‘피해자’로 정정해 사용하고 있다”며 “피해자와 굳건히 연대하며, 사건의 진상을 낱낱이 밝히고 피해자가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당력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