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환자 가족, 발병 위험 17배 높다..주요전파 경로는 부모→자녀

중앙일보

입력 2020.04.29 13:53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결핵 환자의 가족은 일반인보다 결핵에 걸릴 위험이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전파 경로는 부모에서 자녀로 확인됐다. 가족 접촉자라도 결핵 검진을 받으면 발생 위험이 60%나 떨어졌다. 
 
질병관리본부는 2015~18년 결핵 환자 가족 접촉자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결핵균 현미경 사진

 
기침이나 대화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결핵은 매일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이나 동거인에게 옮기기 쉽다. 

검진시 발생 위험 60%↓

같은 가족 접촉자라도 검진 여부에 따라 발병 위험이 크게 차이 났다.    
 
질본이 가족 접촉자 검진 대상자 13만8335명을 조사했더니 13만7702명(99.5%)이 결핵 검사를 받았고 1180명(0.9%)이 결핵으로 확인됐다. 잠복결핵 감염 검진을 시행하지 않은 검진 대상자 5만3565명 중에서는 544명(1.0%)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노출돼 감염은 됐으나 실제 발병은 하지 않은 상태다.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지 않지만, 이 중 10명 중 1명꼴(10.0%)로 결핵(활동성 결핵)이 발병한다. 


질본은 “결핵 환자의 가족 접촉자가 검진을 받으면 미검진자에 비해 결핵 발생 위험을 60%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특히 가족 접촉자가 검진에서 잠복결핵으로 확인돼 치료하면 치료하지 않은 경우봐 결핵 발생 위험을 74% 줄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또 검진을 받지 않은 가족은 검진과 잠복결핵 감염을 치료한 경우보다 결핵이 발병할 위험이 6.11배 높았다.
 
가족 접촉자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했더니 검진 대상자와 지표환자의 관계는 ▶자녀(손주 포함, 43.2%), ▶배우자(29.9%), ▶타동거인(14.9%), ▶부모(12%) 순으로 확인됐다. 질본은 “결핵 감염 고위험군인 가족 간 전파경로가 주로 부모 및 조부모로부터 자녀로 진행됨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질본은 “가족 접촉자는 결핵 발병 위험이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 약 17배 높은 고위험군”이라며 “접촉자조사를 통해 결핵 전파 차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수연 기자 ppagsh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