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외교차관, 시진핑 언급 않고 "고위급 교류 예정대로 추진"

중앙일보

입력 2020.04.17 19:00

수정 2020.04.17 19:03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일 오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의 위로 전화를 받고 감사의 뜻을 표시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23일 베이징에서 만난 문 대통령과 시 주석. [연합뉴스]

 
한·중 외교 당국이 차관급 회의를 갖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올해 방한을 예정대로 추진해 나가는 데 합의했다. 
 
외교부는 17일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이 러위청(樂玉成)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화상으로 한·중 차관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주요 의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한·중 관계, 한반도 문제 등 크게 세 가지였다고 한다. 

17일 조세영 1차관, 러위청 中부부장과 화상협의

외교부는 특히 “두 차관이 한·중 양국이 코로나19 사태를 함께 극복하면서 양국 관계를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각급에서 소통을 이어 나가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면서 “올해 예정된 고위급 교류 등 각급 교류의 추진에 대해서도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이 17일 러위청(樂玉成)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화상으로 차관 협의를 진행했다. [외교부 제공]<br>

 
청와대 등 정부가 밝힌 '올해 예정된 고위급 교류'는 시 주석의 상반기 방한을 의미한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 확산 국면에서 시 주석 방한 이슈는 중국발 입국 제한과 맞물려 국내에서 민감한 문제로 떠오르며 이번 차관 협의에서는 '예정된 고위급 교류'로 완화한 표현이 쓰였다. 양측은 '상반기' 등 시기도 특정하지 않았는데, 지난해 말 청와대 관계자가 "상반기 방한이 확정적"이라고 했던 것에서 한 발 물러난 것이다. 
 
조 차관과 러 부부장은 또 코로나 19와 한·중 기업인들의 왕래를 보장하기 위한 '신속통로'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기업인들에게 필수적인 경제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입국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이라고 한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