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리 겪었는데 부산시 왜 또 광안대교 걷기행사 여나

중앙일보

입력 2019.08.04 10:55

수정 2019.08.04 16:24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지난 2010년 광안대교에서 행사가 열리는 모습. [중앙포토]

부산의 랜드마크인 광안대교가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달 광안대교 개방행사를 하면서 교통체증이 빚어졌는데 부산시가 다음 달에 또 이곳에서 걷기대회를 열기로 하면서다. 그렇다면 왜 부산시는 걷기 행사 때마다 교통체증 등으로 민원이 빗발치는 이런 행사를 잇따라 여는 걸까.  
 
사연은 이렇다. 부산시는 광안대교를 앞으로 세계적 관광명소로 키우기 위해 보행로와 자전거길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2003년 개통한 광안대교는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구 센텀시티 부근을 잇는 총연장 7.42㎞다. 국내 최대 해상 복층 교량으로 현재는 사람과 자전거가 다닐 수 없는 자동차 전용 유료도로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오거돈 시장이 취임한 뒤 ‘사람 중심 보행문화 확산’을 강조하면서 광안대교에 보행로와 자전거길을 조성하는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시 "보행로와 자전거길 조성 위해 행사 열어"
시민들 "교통체증 등 이용자 불편도 고려해야"

지난달 27일 열린 광안대교 개방 행사도 같은 맥락에서 열렸다. 광안대교는 그동안 유료인 언론사 마라톤·걷기대회 코스로 이용된 적 있지만, 무료로 시민 보행길로 개방된 것은 처음이었다. 이날 부산시는 오전 8시부터 3시간 동안 광안대교 상층부 4.9㎞를 무료로 개방했다. 보행은 보행자 안전을 고려해 광안대교 해운대요금소에서 진입해 남천동 메가마트로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보행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광안대교에서는 버스킹 공연 같은 ‘걷기 잔치 한마당’이 펼쳐졌다. 또 교량의 주탑과 해운대 마린시티를 배경으로 ‘인생 샷’을 남길 수 있는 다양한 포토존이 설치돼 인기를 끌었다. 교량 중앙에는 푸드트럭 존이 설치돼 참가자들은 다리 위에서 브런치를 즐기는 색다른 경험도 했다.
 

광안대교 이미지. [중앙포토]

그러나 부작용도 있었다. 이날 열린 광안대교 개방행사로 오전 7시부터 차량 통행이 금지되면서 운전자와 관광객이 큰 불편을 겪었다. 휴가철이어서 해운대와 광안리 등 시내 주요 해수욕장 등 관광지를 찾았던 관광객과 남포동 등 원도심으로 이동하려던 시민 등이 2~3시간 이상씩 도로에 발이 묶이면서 민원이 빗발쳤다. 특히 부산시가 다음 달 22일 광안대교 상층부에서 또 한차례 걷기대회를 하겠다는 방침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해운대에 사는 김모(52)씨는 “마라톤과 해맞이 행사 등을 수시로 하면서 광안대교가 그때마다 교통체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시가 2차례나 더 걷기대회를 연달아 하는 것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부산시는 다음 달로 예정된 걷기대회를 예정대로 열겠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오는 9월 중 광안대교 개방행사를 한 차례 더 진행해 개방에 따른 안전문제와 차량 흐름 등을 파악해 특정한 날을 정해 광안대교를 정기 개방하거나 전용 보행·자전거길을 만들어 상시 개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다음 달 행사 때 운전자 불편이 예상되지만 이를 감수하고서라도 광안대교 보행로 조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걷기대회 행사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부산=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