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구소장 "자금지원 중단 방식 끔찍했다" 성명

중앙일보

입력 2018.04.13 10:58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정부로부터의 자금 지원이 중단돼 내달 문을 닫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국제관계대학원(SAIS) 산하 한미연구소(USKI)의 구재회 소장이 정부의 자금 지원 중단 방식에 대해 "끔찍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구 소장은 "우리의 성과가 불만스럽다면 자금 지원을 중단하는 것은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권리이지만 이번 일이 진행되는 방식은 끔찍했다"고 12일(현지시각) 밝혔다.  

구재회 한미연구소 소장. [USKI 홈페이지 캡처]

 
이번 논란의 한가운데 섰던 구 소장은 이날 성명에서 "지속적인 인적 교체 요구 및 운영 규정 변경 시도는 USKI와 SAIS 모두에 그야말로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었으며, 워싱턴에 있는 어떠한 싱크탱크나 학문적 기관이었더라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KIEP는 회계 투명성 등 운영상의 문제를 들어 오는 6월부터 USKI 예산 지원 중단을 결정했했다. 이에 USKI측은 '코드 인사를 위한 싱크탱크 물갈이', '학문의 자유에 대한 부당한 개입'이라며 강력히 반발해왔다.  
 
이 과정에서 KIEP가 보수 성향으로 알려진 구 소장의 교체를 요구하면서 '인적 청산' 논란까지 일었다. 자금지원이 끊긴 USKI는 내달 11일 자로 문을 닫기로 했다. 2006년 설립된 지 12년 만이다. 다만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는 별도 재원을 마련해 독자적으로 운영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구 소장은 국회 관계자들을 인용해 USKI와 역시 정부지원을 받는 한미경제연구소(KEI)를 비교한 언론 보도를 거론하며 "USKI와 달리 KEI는 KIEP의 통제하에 있는 등록된 외국 기관이기 때문에 회계 보고 관점에서 두 기관을 비교한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SAIS와 KIEP가 1년 단위로 협상과 서명을 (갱신)하도록 한 계약조건에 따라 그 주기 이상으로 자료를 제공할 의무는 없지만, 최근 몇 년간 KIEP가 점점 세부 내역을 요구해옴에 따라 모든 질문에 답해왔다"고 주장했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