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를 어찌하나', 고뇌에 빠진 여권

중앙일보

입력 2017.06.09 17:38

수정 2017.06.09 18:5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놓고 야당이 ‘부적격’ 판정을 내리며 청와대와 여권에 비상이 걸렸다.  
 
청와대는 일단 임명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9일 “결정적 하자가 발견된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우상호 전 원내대표도 9일 “야당이 존재를 드러내야 한다는 강박증에 사로잡힌 것 아니냐”며 “채택이 안 되더라도 (청와대가) 국민의 이해를 구하고 임명하지 않겠냐”고 예측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9일 오전 서울 세종로 대우빌딩으로 출근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하지만 이런 움직임과 별도로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는 당황하는 기류가 역력하다. 여기엔 야당의 협조가 절실한 추가예산경정과 정부조직법을 통과시키는 데 있어 걸림돌이 되지 않겠냐는 우려가 깔려있다.  

여권, 강경화 카드 놓고 고민
강 후보자 강행 때는 여야 냉각
추경, 정부조직법 등 발목 부담

이런 가운데 8일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JTBC ‘썰전’에 출연해 강 후보자에 대해 혹평을 한 것이 알려지면서 화제가 됐다. 그는 “(강 후보자는) ‘자기 앞가림도 잘 못 하는데 국가 대사의 앞가림은 어떻게 하지’라는 불안감이 확 온다”며 “이런 분을 외교부 장관에 (정말)써야 하나"고 말했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깜짝 놀랐다. 청와대와 가까운 유 전 정관이 저런 말을 했을 정도니, 강 후보자 카드를 무조건 밀고 나가기 어려운 거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강 후보자에 대한 대응 방안을 대략 세 가지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①여론전-‘임명 강행’=청와대는 강 후보자의 임명을 강행하되, 민주당이 중심이 되어 여론에 호소하는 전략이다. 특히 강 후보자의 외교적 능력을 부각하는 한편 야권에 대해서는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이미지를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위안부 할머니 등 각계에서 강 후보자에 대해 지지를 선언하는, 우호적 여론 분위기가 조성됐다는 자체 판단이다.  


②각개격파-‘추경 우선’=강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와 추경안을 분리해 접근하는 방식이다.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는 명분을 앞세워 추경안 통과에 전력을 다하는 것이다. 강 후보자의 임명에 대해서는 사실상 청와대와 야권의 구도로 만들어 정국경색에 대한 부담을 피하자는 판단도 깔려있다.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박종근 기자]

 
③패키지론-‘강 후보자 낙마’=여야 협치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 후보자의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다. 극단적인 여야 대치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희생이 불가피하다는 메시지를 청와대에 전달해 관철시키자는 것이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강경화’ 카드에 집착하다가는 야권의 동의가 필수인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가 낙마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더 큰 것을 잃어버려선 안되지 않는가"라고 말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