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미국이 금리 올려도 대규모 자본유출 가능성 낮아"

중앙일보

입력 2017.04.28 12:04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국내 금융시장에서 자본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현재의 금융ㆍ경제 상황에 비춰볼 때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으로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밝혔다.   

한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 국회 제출

그 이유로는 한국의 대외건전성이 신흥시장국 중에서도 양호한 수준이라는 점을 꼽았다.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은 국제금융협회가 정한 ‘매우 양호’ 기준(3% 초과)을 웃돈다. 외환보유액 규모나 단기 대외지급능력 비율도 과거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의 성격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달라졌다는 점도 지적했다. 내외금리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민간자금보다는 장기투자 성향의 공공자금이 크게 늘면서 안정성이 높아졌다.   

한국에서 대규모 자본유출이 일어났던 과거 사례(1997~1999년, 2008~2009년, 2015~2016년)를 보더라도 내외금리차보다는 국제금융시장의 불안, 국내경제의 취약요인에 따른 영향이 컸다. 한은은 이 보고서에서 “과거 미 연준의 금리인상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한국<미국)됐던 시기에도 외국인 투자자금은 순 유입됐다”고 지적했다. 
 
한은의 분석은 그동안 여러차례 밝혀온 ‘금리인상 신중론’과 맞닿아있다. 지난달 Fed가 기준금리를 0.75~1%로 올렸고 올해 안에 두차례 추가 인상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이주열 한은 총재는 여러차례에 걸쳐 “미국을 따라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