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4년간 빚만 늘었다"…대출자 1인당 7206만원

중앙일보

입력 2016.10.04 11:5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박근혜정부 들어 지난 4년간 가계대출자 1인당 평균 부채금액이 24%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2분기 가계부채가 있는 대출자 1인당 평균 부채액은 7206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5819만원이던 2012년보다 23.8%(1387만원) 늘어난 액수다.

직업별로는 상용근로자 가구의 부채 규모가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상용근로자 가구의 금융부채 보유비중은 68.9%에서 2015년 66.7%로 다소 줄었다. 그러나 가구당 평균 부채액은 3889만원에서 4779만원으로 오히려 22.9%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중에서도 부채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뜻이다. 임시·일용직근로자 가구 중 부채가 있는 가구의 비율도 같은 기간 53%에서 50.4%로 감소했지만 부채액은 1727만원에서 1814만원으로 5% 증가했다. 자영업자 가구도 67.3%가 부채를 안고 있었다. 가구당 평균 부채액은 6948만원에 달한다. 2012년(6165만원)보다 12.7% 증가했다.

부채가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각 가계의 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악화됐다. 한국은행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사상 처음으로 170%를 넘어섰다.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은 2011년 698조원에서 2015년 837조원으로 19.9% 늘어났지만, 금융부채는 1101조원에서 1423조원으로 29.2% 증가했다. 이 때문에 가계부채 비율은 같은 기간 158%에서 170%으로 높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의 평균은 134%다.


윤 의원은 "무섭게 증가하는 부채로 인해 가계는 소비 여력을 잃고 장기적 침체에 빠졌다"며 "부채의 총량과 증가 속도를 줄이려면 신규 부채 발생을 막고 이미 발생한 부채에 대한 가계의 상환능력을 높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추이 (단위 : 조원·%)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부채구조 (단위 : 만원)


















 
 

?

금융부채 보유가구 비중(%)

금융부채1)

?

담보대출

신용대출

신용카드
관련대출

기타2)

상용근로자

2012

68.9

3,889

3,134

645

40

70

2013

69.5

4,103

3,291

695

46

72

2014

68.5

4,434

3,638

682

49

65

2015

66.7

4,779

3,919

737

42

82

임시·일용근로자

2012

53.0

1,727

1,233

356

93

45

2013

54.8

1,952

1,443

349

108

51

2014

52.6

1,797

1,346

320

89

42

2015

50.4

1,814

1,313

344

105

52

자영업자

2012

67.6

6,165

4,996

948

53

168

2013

70.2

6,704

5,468

1,020

61

155

2014

69.5

6,829

5,621

980

68

159

2015

67.3

6,948

5,712

1,010

70

156

주 : 1) 가구당 평균 기준, 해당연도 3월 말 기준
2) 외상 및 할부 미상환액 등
자료 : 가계금융·복지조사(한국은행, 통계청)









 

연도

처분가능소득(NDI)
(A)

금융부채
(B)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 (B/A)

2011

698

1,101

158

2012

724

1,155

159

2013

761

1,219

160

2014

796

1,296

163

2015

837

1,423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