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인 36.6%는 평생 한번은 암 걸리고, 5년 생존율 69.4%달해

중앙일보

입력 2015.12.22 12:12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한국인 3명 중 1명은 평생 한번은 암에 걸리고, 암에 걸린 10명 중 7명은 암 진단 뒤 5년 이상 생존한다. 보건복지부ㆍ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는 2013년 국가암등록 통계를 바탕으로 이러한 내용의 한국인의 암 발생률, 생존율 데이터를 21일 발표했다. 2013년에 새로 발생한 암환자는 22만5343명으로 2012년(22만117명)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암 발생률은 10만 명 당 311.5명으로 전년(319.5명)보다 줄어 2년 연속 감소했다. 국립암센터는 조기 검진으로 암 전단계에서 발견해 치료한 사례가 많아지고, 남성 흡연율이 줄어드는 등 생활습관이 나아지면서 암 발생이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했다.

2013년 기준 한국인이 많이 걸린 암은 갑상샘ㆍ위ㆍ대장ㆍ폐ㆍ유방ㆍ간ㆍ전립선 순이었다. 남자는 위ㆍ대장ㆍ폐ㆍ간ㆍ전입선 순으로 암이 발생했고, 여자는 갑상선ㆍ유방ㆍ대장ㆍ위ㆍ폐 순이었다. 2000년 이후 발생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갑상선암(4만2541명)을 제외하면 2013년 신규 암환자 수는 총 18만2802명이었다.

국내 암 발생률 2년 연속 감소

자궁경부암 검진 30세→20세부터

 
<2013년 주요 암종 발생자수 및 발생분율>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10만명당 285.7명으로 미국(318명), 호주(323명)보다는 낮지만 OECD평균(270.3명)보단 높았다.


<연령표준화발생률 국제비교 남, 녀>
1999년 이후 발생한 암환자 중 2014년 1월 1일 생존한 것으로 나타나는 암 경험자(치료 중 또는 완치 후 생존자) 수는 약 140만 명에 달했다. 이는 우리나라 국민 37명 중 1명 이상이 암을 경험한 사람이라는 의미다.
기대수명(81세)까지 살 경우 한국인의 36.6%는 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봤을 땐 남자(기대수명 78세)는 5명 중 2명(38.3%), 여자(85세)는 35%가 평생 한번은 암에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 2009년~2013년 발생한 암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이하 생존율)은 69.4%였다. 2001년~2005년 생존율(53.8%) 대비 15.6% 올라간 수치다.
암 별로는 갑상샘암(100.2%), 전립선암(92.5%), 유방암(91.5%)의 생존율이 높았고, 간암(31.4%), 폐암(23.5%), 췌장암(9.4%)은 생존율이 낮았다. 국립암센터는 “갑상샘암의 생존율이 100%를 넘는 건 같은 연령과 성별의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갑상샘 환자가 더 많이 생존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남녀별 5년 상대생존율 2009~2013>
복지부는 암등록통계사업을 기반으로 국가암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암예방, 검진, 진단 및 치료, 생존자 관리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등 생애전주기 맞춤형 암관리정책을 수립하는 근거자료를 생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간암 검진주기를 1년에서 6개월로 단추하고, 자궁경부암 연령을 30세 이상에서 20세 이상으로 조정하는 등 검진 제도를 내년부터 개선 시행하기 위한 시행령 입법예고 중이다. 복지부 이재용 질병정책과장은 ”암의 예방, 치료, 완화의료, 국제협력 등을 포함한 제3기(2016-2020) 국가암관리종합계획도 수립 중에 있으며, 내년 초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자료 2013년 암등록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