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입주한 예천·나주·홍성 급등

중앙일보

입력 2015.09.22 02:54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17개 광역시·도별로 보면 10년간 서울 땅값은 64만7984원이 오른 반면 강원도는 불과 2628원 상승했다.

 226개 시·군·구별로는 경북 영양군 땅값이 가장 적게 올랐다. 2006년 616원에서 368원이 올라 2015년 984원이 되는 데 그쳤다. 2015년 기준으로 전국에서 ㎡당 공시지가가 1000원 미만인 곳은 영양군이 유일하다. 10년간 공시지가가 1000원도 오르지 않은 지역도 29곳으로 나타났다. 경북 봉화군(736원→1146원, 410원), 전남 진도군(1960원→2387원, 427원), 전북 순창군(1884원→2430원, 546원) 등이다. 모두 인구가 감소하는 농촌 지역이다.

울산 111% 상승, 광역시·도 중 1위
서울 64만원 오를 때 강원 2628원

 땅값 상승률은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울산의 오름세가 단연 두드러졌다. 17개 광역시·도 중 10년 새 땅값 상승률이 111.3%로 가장 많이 올랐다. 5개 구·군 중 현대자동차가 입주한 중구(12만7520원→28만3345원, 122.2%)를 비롯해 북구(3만6555원→7만9621원, 117.8%), 울주군(1만4468원→3만1512원, 117.8%), 동구(9만567원→18만9890원, 109.7%) 등 4개 구·군의 상승률이 100%를 넘었다. 남구의 상승률도 92.9%(17만4135원→33만5968원)였다. 반면 17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는 광주였다. 10년 새 평균 땅값 상승률이 30.8% 오르는 데 그쳤다.

 226개 시·군·구별로는 조선소가 대거 입주한 경남 거제(1만3495원→3만9267원)의 땅값 상승률이 191% 올라 1위였다. 2위는 2012년 연기군에서 변모한 세종시(2만5899원→7만3148원, 182.4%)였다. 경북 예천군(2100원→5624원·167.8%)과 전남 나주시(6364원→1만6985원·166.9%), 경북 울릉군(3121원→7706원, 146.9%) 등이 뒤를 이었다. 모두 공공기관이 이전하거나 도청 소재지가 입주하는 등 개발 호재가 일어난 곳이다. 예천에는 경북도청이 이전할 예정이고 나주는 혁신도시로 지정되면서 한국전력이 이전했다. 울릉군엔 울릉공항이 들어설 예정이다. 충남도청이 들어선 충남 홍성군도 10년 새 땅값이 126.3%(8854원→2만37원) 상승했다.

 강원도에선 영월군(1094원→2319원, 111.97%)과 원주시(1만2913원→2만6951원, 108.71%)가, 충북에선 진천군(8858원→1만7646원, 99.2%)이, 충남에선 당진시(2만369원→3만8118원, 87.1%)가, 전북에선 완주군(4535원→9068원, 99.9%)이, 전남에선 여수시(1만5890원→3만403원, 91.3%)와 광양시(1만1691원→2만2326원, 91%) 의 상승률이 높았다. 


위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