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병기 ‘필향만리’

[김병기 ‘필향만리’] 喪者之側 未嘗飽也(상자지측 미상포야)

중앙일보

입력 2024.04.08 00:14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작은 일도 소홀히 하는 법이 없었고, 제자들 또한 그런 스승의 일거수일투족을 꼼꼼히 살피고, 따라 배우며 기록했던 것 같다. 그래서 『논어』는 읽을 때마다 소박하면서도 깊은 생활 철학의 맛을 느끼곤 한다. 상가에 문상하는 공자의 모습을 제자들은 “선생님께서는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일찍이 배불리 잡수신 적이 없다”고 기록하였다. 소소한 듯 중요한 이야기이다.
 

喪: 잃을 상, 側: 곁 측, 嘗: 일찍이 상, 飽: 배부를 포.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배불리 먹지 않았다. 32x70㎝.

문상할 때는 경건한 마음으로 망자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고, 상주들의 슬픔을 위로해야 한다. 그런데 요즈음 풍습이 경박해지다 보니 문상하러 가서도 포식하고 음주하며 큰 소리로 즐겁게 떠드는 사람이 있다. 심지어는 상주도 술자리에 어울려 거나해지는 경우도 있다. 상주를 위로하기 위해 국어사전에도 없는 ‘호상(好喪)’이라는 말을 만들어 “고통스럽게 앓지 않고 장수하셨으니 ‘호상’이라 할 만하네. 너무 슬퍼 마시게”라는 식으로 가끔 사용했던 것을 상주 본인이 ‘호상’ 운운하며 나불대는 경우도 있다. ‘좋은 죽음’이라니? 패륜에 가까운 무례이다.
 
죽음을 슬퍼하지 않고 쓰레기 치우듯 상을 치르면 생명의 소중함을 망각하게 된다. 생명을 경시하는 사회에서는 내 생명도 경시된다. 상가에서 포식하며 즐기는 것은 자신의 생명을 경시하는 행위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