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지폐에도 실린 'K원전'…사막 천지개벽 본 베테랑의 감회

중앙일보

입력 2023.01.25 16:09

수정 2023.01.25 18:47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UAE 바라카 원전에서 근무 중인 한수원 김지운 부장. 직원 숙소로부터 차로 20분 거리인 발전소가 신기루처럼 멀리 보인다. [사진 본인 제공]

“바라카 원전은 한국과 UAE 양국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대표하는 큰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바라카 원전 3호기 가동 기념행사에서 한 말이다. 전날 정상회담에서도 화두는 ‘원전’이었다.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UAE 대통령은 윤 대통령에게 “어떤 상황에서도 약속을 지키는 대한민국을 신뢰한다”고 밝혔다. 300억 달러(약 37조원) 투자를 결단한 계기로 바라카 원전을 꼽은 것이다. 올 상반기부터 통용되는 UAE 최고액권(1000디르함) 뒷면에 원전이 새겨진 것도 UAE에서의 그 위상을 보여준다.
 
바라카의 시계는 잠들지 않는다. 한국은 2009년 수주를 따낸 이후 생소한 중동 환경을 극복하고 여의도의 몇배나 되는 드넓은 지역에 발전소를 지었다. 1·2호기는 이미 전력을 쉼 없이 생산 중이고, 3·4호기도 곧 가동된다. 이는 UAE에 세워진 첫 원전이자 해외로 진출한 최초의 ‘K원전’이 됐다. 원전 수출과 경제 협력의 상징인 동시에,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과 민간 업체 직원들에겐 매일 땀 흘리는 일터다.

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UAE 아부다비 알다프라 바라카 원전에서 열린 3호기 가동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韓 근무자들이 땀 흘리는 일터…"서로 가깝게 지내"

바라카 원전 1호기 정비계획파트에 근무하는 김지운(47) 한수원 부장도 그중 한 명이다. 2016년 UAE로 발령받은 그는 현지 근무자 중에서도 원전 운영 ‘베테랑’으로 꼽힌다.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일하면서 전반적인 정비 업무를 맡고 있다. 업무 특성상 동료 직원들보다 UAE에 오래 머무르고 있다.
 
김 부장은 지난 16일 근무 도중 윤 대통령이 방문한 걸 멀찌감치서 봤다고 한다. 25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수도 아부다비에서 차로 3시간, 먼 거리인데도 대통령이 찾아와서 많은 직원이 기뻐했다. 원전 건설이 큰 협력의 마중물이 됐다고 하니 자부심도 느껴졌다”고 말했다. 현지에서 함께 고생하는 한국인 직원끼리 가까운 편이다. 그는 “소속 회사도 다르고 사람도 많지만, 얼굴 자주 보고 식사도 같이하는 동료가 여럿 있다. 발전소 일은 서로 협조할 게 많으니 전화도 자주 한다”고 했다.
 
그는 1·2호기 시운전 등 운영 초기 단계부터 함께 했다. 그래서 바라카 원전이 주목받는 걸 보면 과거 풍경이 떠오른다고 했다. "모래 외에 아무 것도 없던 곳에 발전소가 세워진 걸 보면 감회가 남다르다. 1·2호기에서 전기 생산하고 전력망에 송전하는 거 보면 ‘평소 땀 흘린 게 보람이 있다’ 그런 생각이 든다.”

사막 위에 세워진 UAE 바라카 원전 3·4호기. 외부 벽면에 각각의 번호가 적혀 있다. 바라카=임성빈 기자

바라카 경험에 원전 수출 가속 "다들 큰 자부심" 

처음 해외에 원전을 지으면서 어려움도 많았다. 그는 바닷물을 예로 들었다. “(냉각수로 쓰는) 해수 온도가 다르다. 우리나라보다 바닷물 온도가 높은 편이라 그에 맞춰 냉각 기능을 끌어올렸다"면서 "한국과 다른 자연환경에서 오는 운영조건 차이를 기술력으로 극복한 셈"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내와 다른 원전 운영 프로세스 등에 적응하는 데도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그래도 한국형 원자로인 ‘APR1400’을 수출한 이곳에서 보여준 공기 준수 능력, 발전소 운영 능력 등은 인정을 받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이집트 엘다바 원전 2차 건설사업 수주, 폴란드 퐁트누프 원전 협력의향서(LOI) 체결 등 K원전 수출 보폭이 빨라졌다. 본격적으로 해외를 바라보는 원전 산업은 김 부장에게도 남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그는 “바라카 원전 직원들이 역사의 현장에서 미약하나마 도움이 된다는 게 자랑스럽다. 특히 사막에 발전소를 지은 바라카 프로젝트가 후속 원전 수출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이야기 덕분에 다들 큰 자부심을 갖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바라카 현장서 근무한 이들의 경험이 한수원뿐 아니라 민간 기업에도 매우 큰 자산이 될 것이다. 이들이 사라지지 않고 K원전 수출에 꾸준히 투입돼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UAE 바라카 원전서 근무 중인 한수원 김지운 부장. 직원 숙소 식당에 걸린 UAE 국기 앞에 섰다. [사진 본인 제공]

운영 본격화에 근무자 줄어 “다음 수출 현장에 또 달려갈 것” 

김 부장은 평소 원전 근처의 직원 숙소(빌리지)에서 생활한다. 한국과 다른 생활 환경이 불편하지만, 부인·아들·딸을 비롯한 가족들이 UAE에 있는 건 든든한 버팀목이다. 일을 쉬는 주말엔 아부다비의 집에 다녀온다. 그는 “아이들도 아빠가 무슨 일 하는지 잘 안다. 특히 큰아이는 평소 자랑을 많이 하는데, 친구들에 ‘UAE 전기 생산의 20% 정도를 아빠가 담당하고 있다’고 틀림없이 자랑했을 것”이라며 웃었다.
 
바라카 원전이 속속 가동한다는 건 한국 기업들의 숙제가 끝나간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창때에 비해 한국 근무자들은 꾸준히 줄고 있다. 필수 근무 인력으로 분류돼 UAE에 남았던 김 부장도 오는 6월께 귀국할 예정이다. 하지만 또 다른 원전 수출이 성사되면 언제든 달려갈 수 있다는 게 그의 마음이다.
 

“제가 맡은 소임은 마치고 돌아가는 거 같다. 첫 원전 수출이라 경험한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다음 수출 현장에 나서면 더 좋은 실적을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새해 제 소망은 바라카 3호기 준공, 4호기 운영 착수가 문제없이 진행되는 것, 그리고 폴란드 등으로 K원전 수출 계약이 꼭 이뤄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