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빚 9000만원 돌파…20대 부채는 41% 급증

중앙일보

입력 2022.12.02 00:4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올해 가구당 평균 빚이 처음으로 9000만원을 넘었다. 10년 전까지는 5000만원대 초반이었던 가계부채가 1억원에 가까워지고 있다. 고물가에 금리까지 급등하면서 한국 경제에 가계빚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는 경고등이 켜졌다. 또 올 초까지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던 여파로 자산 격차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전체 가구의 평균 부채는 9170만원(3월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368만원(4.2%) 증가했다. 평균 자산은 5억4772만원으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5602만원을 기록했다.
 
올해 가구 자산은 전년보다 9% 늘었다. 가계가 부동산 자산을 사들인 영향이 컸다. 실제 올해 가계의 금융자산은 전년 대비 7.1%, 실물자산에서 9.5% 증가했다. 실물자산 중에서도 ‘거주주택’ 자산이 11.5% 늘었다.
 
특히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로 부동산에 투자한 젊은층의 빚 부담이 급증했다. 올해 29세 이하 가구주의 부채 보유액이 5014만원으로 전년 대비 41.2% 증가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올해 금융부채를 얻어 임대보증금을 끼고 집을 산 29세 이하 가구의 부채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29세 이하 가구의 표본 수는 많지 않다.


올해 부채를 보유한 가구 비율은 63.3%였다. 가계부채의 대부분은 금융부채(74.2%, 6803만원)로, 나머지는 임대보증금(25.8%, 2367만원)이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 가운데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4.4%로 전년보다 오히려 1.2%포인트 감소했다. 이번 조사 결과가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직전인 올해 3월 말 기준의 통계라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 가계의 부채에 대한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3월 당시 1.25%였던 기준금리는 12월 현재 3.25%로 올라 있다.
 
가구 평균소득(지난해 기준)은 6414만원으로 전년 대비 289만원(4.7%) 증가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이 4125만원으로 271만원(7%) 증가했고, 사업소득은 1160만원으로 25만원(2.2%) 늘었다.
 
세금이나 의료보험 등으로 나가야만 하는 비소비지출은 평균 1185만원으로 전년 대비 62만원(5.6%) 늘었다. 가구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5229만원으로 227만원(4.5%) 증가했다. 비소비지출 중에선 비영리단체에 대한 이전지출이 39만원(-16.2%) 감소했다. 
 

소득 상위 20% 순자산 1억 늘 때…소득 하위 20% 771만원 증가 그쳐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순자산은 올해 10억273만원으로 전년 대비 1억160만원(11.3%) 불어났는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순자산은 771만원(5.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소득 5분위의 평균소득은 1억4973만원으로 전년 대비 765만원(5.4%) 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소득 1분위의 평균 소득은 29만원(2.2%) 늘어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또 올초까지 이어졌던 집값 상승세는 빈익빈 부익부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순자산 기준 상위 20%(5분위)의 순자산은 14억1490만원으로, 지난해(12억8519만원)보다 10.1% 늘었다. 반면에 같은 기간 하위 20%(1분위)의 순자산은 1024만원에서 1010만원으로 줄었다. 상위 20%와 하위 20%의 차이는 14억480만원에 달한다. 역대 최고다.
 
순자산 5분위 배율은 140.1배를 기록했다. 상위 20% 가구가 하위 20% 가구보다 140배 이상의 부동산과 돈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해보다 14.6배 포인트 증가했다.
 
자산 증가를 이끈 건 부동산이다. 순자산 5분위의 경우 가구당 평균 16억2471만원을 보유했는데, 이 중 83%인 13억4841만원이 실물자산이었다. 1년 전(12억1702만원)보다 1억3139만원 늘었다. 문재인 정부 막바지까지 주택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게 자산 격차로 이어졌다.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는 지난해 0.333으로 2020년(0.331)보다 높아졌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5.85배에서 올해는 5.96배로 올랐다.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빈부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