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파업 피해 복구 못했는데…수출길 다 끊긴다" 산업계 비명

중앙일보

입력 2022.11.25 16:16

수정 2022.11.25 17:27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24일 오후 부산 남구 한 화물차 주차장에 운행을 멈춘 트레일러들이 주차돼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차종·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며 이날 0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송봉근 기자

민주노총 산하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는 25일, 산업계 곳곳에서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집단 운송거부 긴급 애로·피해 신고센터’로 현장 기업의 피해사례 19건이 접수됐다고 이날 밝혔다. 화물연대가 운송거부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날인 지난 23일부터 24일 오후 6시까지 집계된 내용이다.

 
피해 사례 중에는 납품 지연에 따른 위약금 발생과 거래 단절을 우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남아시아에서 냉동 수산물을 수입해 국내에 판매하는 A기업은 한·아세안 및 한·베트남 협정에 따라 최근 6개월 치 물량을 낙찰받아 선적을 마쳤다. 다음 달 30일까지 수입절차를 마무리해야 하지만 화물연대 파업으로 수입·검역 과정이 지연되고 있다. 만약 이행 기간을 지키지 못하면 앞으로 1년간 입찰에 참여할 수 없고 세금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없다.

 
물류비 증가나 원·부자재 반입 차질에 대한 불편 신고도 있다. 생활용품을 수출하는 B기업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천 컨테이너 터미널의 반출일을 지키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지체료와 체선료, 보관료 등의 물류비가 매일 추가로 발생할 예정이며 비용부담은 모두 B사가 떠안아야 한다. 미용 의료기기를 수출하는 C사는 화물차를 예약하지 못해 곤란한 상황이다. 대체수단을 찾는다 해도 화물연대가 진입 자체를 막고 있는 바람에 납기를 맞추지 못할까 우려하고 있다.


 
경찰력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한 사례도 있다. 국내 화학기업에 원·부자재를 납품하는 울산 소재의 D기업은 화물연대가 공장 진입로를 차단해 운송 차량이 진입하지 못했다. D기업은 무역협회에 도움을 요청했고 결국 경찰의 화물차 에스코트 지원을 받아 화물을 반입했다.

 

이동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상근부회장(가운데)이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에서 열린 ‘노동계총파업에 대한 업종별 단체 공동성명’에서 총파업을 규탄하는 성명문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공동성명에는 경총을 비롯해 한국시멘트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철강협회, 한국해운협회 등 30개 주요 업종별 단체들이 참여했다. 뉴스1

기업들의 피해가 이어지자 경제 단체는 한목소리로 파업 중단 촉구에 나섰다. 한국경영자총협회와 업종별 단체들은 이날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에서 노동계 총파업에 대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지난 6월 화물연대 운송 거부로 우리나라 핵심 산업에서 1조6000억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했는데 피해가 아직 복구되지 못한 상황에서 다시 운송 거부를 시작했다”며 “산업물류를 볼모로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하겠다는 화물연대 투쟁에 공감할 국민은 거의 없다”며 즉각 운송에 복귀할 것을 당부했다.  
 
업종 단체들의 호소도 이어졌다.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부회장은 “최근 철강업계는 포스코 침수와 전 세계적 수요 침체로 경영환경이 어려워진 상황”이라며 “정부도 이미 안전운임제 품목 확대에 철강재는 포함할 수 없다고 밝혔기 때문에 파업을 중단하고 물류운송에 차질 없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파업으로 자동차 생산과 생산의 60%를 차지하는 수출이 영향받을 것”이라며 “완성차 업계는 물론 부품을 공급하는 1만3000여개 업체와 40여만명의 근로자 생계에 직결되는 만큼 조속히 정상화해달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소상공인연합회 등 중소기업계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최근 고물가·고환율·고금리의 삼중고에 인력난과 원자재가격 인상까지 겹쳐 중소기업들의 피해는 극심하다”며 “화물연대의 일방적인 운송거부는 수출길마저 틀어막아 해외 거래처의 주문이 끊기는 등 중소기업의 경영난을 가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