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한 "한·일정상회담 구체시기 논의"…유엔총회 계기 회담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2022.09.02 19:01

수정 2022.09.02 19:09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일 한ㆍ일정상회담과 관련 “(일본측과)구체적 시기를 논의했다”며 이달 중순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기간 중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수장 회동을 마치고 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와이에서 진행된 한ㆍ미ㆍ일 안보수장 회동을 마친 뒤 이날 귀국한 김 실장은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ㆍ일 정상회담의 구체적 시기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인 시기를 논의했지만 현재 밝힐 단계는 아닌 것 같다”면서도 “유엔을 비롯한 다자회의를 계기로 하든 그 전후에 필요하면 양 정상이 셔틀외교의 형태로 만나 해법을 구체적으로 밝힐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달 중순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 양자 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6월 29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 이페마(IFEMA)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동맹국·파트너국 정상회의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뉴스1

한ㆍ일 정상회담은 2019년 12월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중국 청두(成都)에서 열린 한ㆍ중ㆍ일 정상회의 때 양자 회담을 한 이후 한 번도 성사되지 않았다. 이달 중순 유엔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회담을 할 경우 2년 10개월만의 한ㆍ일 정상회담이 된다.

 
윤 대통령은 대선 직후인 3월 11일 기시다 총리와의 통화를 시작으로 여러차례 조속한 한ㆍ일 관계 복원의 필요성을 언급해왔다. 지난 6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ㆍ나토) 정상회의 때도 첫 한ㆍ일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당시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던 기시다 내각이 정상회담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으면서 정식 회담은 성사되지 않았다.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1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롤루 미 인도·태평양 사령부에서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김 실장은 이번 하와이 안보수장 회동에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각각 양자ㆍ3자 회동을 진행했다.

 
특히 한ㆍ일 양자 회동에서는 양국 관계의 가장 큰 걸림돌로 부상한 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김 실장은 이와 관련 “시간적 여유가 많진 않았지만, 강제징용 문제를 풀어야 한ㆍ일 양측간에 다른 주요 현안들도 포괄적으로 풀려나갈 수 있다는 기대감을 일본측도 갖고 있었다”며 “이러한 공감대 위에서 앞으로 한두달 정도 집중적으로 노력해 해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 실장은 북한의 7차 핵실험에 대해서는 한ㆍ미ㆍ일이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강한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북한 전문 사이트 '비욘드 패러랠'이 14일(현지시간) 촬영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4번 갱도 공사 정황

그는 “만약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한다면, 그것은 절대 ‘6 1’이 아니다”라며 “7차 핵실험에 대해선 지금까지 대응했던 방식으로 대응하지 않을 것이고, 한ㆍ미ㆍ일이 공조해 국제사회와 더불어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정부가 북한에 공개 제안한 ‘담대한 구상’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일본이 전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인내심을 갖고 북한이 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며 “북한이 대화에 나오면 준비한 로드맵을 구체화할 충분할 기회가 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한국의 전기자동차 업계 등에 대한 큰 부담으로 부상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해선 가시적 성과를 제시하지 못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6일 (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의료보장 확충, 대기업 증세 등을 담은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서명을 하고 있다. [AP]

김 실장은 IRA에 대한 미국의 입장 변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미국이)단기적으로 (한ㆍ미) 양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지가 있는지 다시 한번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에서 면밀히 들여다보고 우리 측에 알려주겠다고 했다”며 “백악관 차원에서 상당한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