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5곳 중 1곳 최대주주 바뀌었다”…금감원 '투자 주의'

중앙일보

입력 2022.07.04 12:01

수정 2022.07.04 18:07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연합뉴스

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는 상장사는 재무상태 부실, 횡령‧배임 같은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주주 변동이 잦을수록 기업 경영권이 흔들려 안정적인 기업 운영이 어려울 수 있어서다.  
 
4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3년간 국내 상장사 10곳 중 2곳의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2019~2021년 전체 상장사(2384곳, 스팩‧리츠 제외)의 21%인 501곳의 최대주주가 바뀌었다. 이 중 3년간 최대주주가 세 번 이상 바뀐 기업도 45곳이다. 
 
이들 기업은 재무상태부실(64.4%), 관리종목 지정(48.9%), 상장폐지(15.6%), 횡령‧배임(28.9%)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65.7%)이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31.5%)이 뒤를 이었다. 최대주주 변경 비율도 제조업(21.9%)이 가장 높았다. 금감원은 “최대주주 변경이 빈번한 기업은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투자 시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최대주주 변경은 기업 평가의 중요한 지표로 꼽는다. 시장에선 재무 상태가 부실하다는 징후로 해석한다. 지난 3년간 최대주주가 세 번 이상 바뀐 기업의 지난해 말 기준 당기순손실(29곳)은 64.4%로 높다. 이 중 13곳(28%)은 자본잠식에 빠졌다. 감사(검토)의견 비적정, 영업실적 저조, 자본잠식, 회생절차 개시 등 관리종목지정 비율(22곳)은 48.9%고 상장폐지(7곳, 15.6%), 횡령‧배임(13곳, 28.9%) 비중도 높았다. 
 
유상증자 같은 자금 조달도 잦았다. 3년간 평균 4.8회 유상증자나 전환사채(CB) 발행이 이뤄졌다. 같은 기간 나머지 상장사의 평균 자금조달 횟수(1.1회)의 4배 수준이다. 신주 발생이 잦으면 주식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최대주주 변경은 대개 주식양수도계약(31.6%), 제3자배정유상증자(26.3%), 장내매매(14%) 같은 방식으로 이뤄졌다. 예컨대 기존 최대주주의 담보주식의 반대 매매가 이뤄져 2대 주주로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식이다. 이후 적대적인 인수합병(M&A)로제3자에게 경영권을 뺏기거나 최대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스스로 양도·매각해 최대주주 변경이 반복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최대주주 변경 후 신규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평균 27.5%였다. 기존 최대주주 지분율보다 4.8%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최대주주 변경이 빈번한 기업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공시심사 강화 및 모니터링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