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 내린 급매물도 안팔려" 송파 비명…용산도 상승세 멈춰

중앙일보

입력 2022.06.23 17:00

수정 2022.06.23 19:3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서울지역의 주택 매매 가격이 약보합세를 지속하는 가운데서도 초고가 아파트는 강세를 이어가면서 중저가 아파트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서울 강남구에 한 부동산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금리 인상과 환율 급등 등의 여파로 서울 아파트값 하락 폭이 커지고 있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21곳의 아파트값이 내렸고 3곳은 보합세를 보였다. 매물은 늘고 있지만, 매수 여력이 떨어지고 매수 심리 위축되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3% 하락했다. 최근 4주 연속 하락했고, 일주일 전(-0.02%)보다 낙폭이 커졌다. 낙폭으로는 올해 2월 28일(-0.03%) 조사 이후 최대치다. 
 
특히 강북지역의 하락폭이 커졌다. 서대문구(-0.03%→-0.06%), 성북구(-0.04%→-0.05%), 노원구(-0.04%→-0.05%), 동대문구(-0.03%→-0.05%), 은평구(-0.02%→-0.05%), 도봉구(-0.02%→-0.04%) 등이 상대적으로 많이 하락했다. 노원구 상계동에서 영업하는 김모 공인중개사는 "시세보다 5000만원가량 가격을 낮춘 매물이 계속 나오는 데 매수세가 자취를 감춰 매물이 쌓이고 있다"며 "매수하려는 사람이 나타나면 지금 나온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 흥정이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대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 이전 등의 효과로 12주 연속 아파트값이 올랐던 용산구도 보합(0.00%)을 기록했다. 강남구 역시 3주 연속 보합세를 기록했고, 송파구(-0.02%)와 강동구(-0.03%)는 지난주보다 낙폭이 0.01%P 각각 확대됐다. 


특히 강남 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은 0.01% 하락해 올해 대선 직전인 3월 7일(-0.01%) 조사 이후 세달여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송파구 잠실동의 파인애플상가에서 영업하는 한 공인중개사는 "3년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매수세가 더 위축됐다"며 "시세보다 2억원 내린 급매물도 거래가 안 된다"고 말했다. 
 
부동산원은 "급격한 금리 인상 부담과 경제위기 우려, 삼성, 잠실, 청담, 대치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등 다양한 하방압력으로 매수세 및 거래 활동이 위축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3일 기준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75건으로 지난해 동기(3943건)의 10분의 1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

 
일부 초고가 아파트 단지에서 이뤄진 최고가 거래의 영향으로 서울 25개 구 가운데 서초구(0.02%)만 이번 주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129.97㎡는 지난달 23일 68억원(19층)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지난 3월 해당 면적 전 고가인 63억원(36층)에 비해 2달 만에 5억원 오른 것이다. 지난해 6월 거래된 51억 원(18층)보다는 무려 17억원 상승했다.
 
경기도(-0.03%)와 인천(-0.06%) 아파트값도 일제히 내리면서 수도권(-0.04%) 아파트값 하락 폭도 지난주보다 0.01%P 확대했다. 전국 아파트값 역시 0.03% 내렸다. 부동산원이 주간 가격 변동을 조사하는 176개 시군구 가운데 하락지역은 지난주 97곳에서 109곳으로 늘었다. 대구(-0.18%), 세종(-0.15%), 전남(-0.08%), 대전(-0.04%), 울산(-0.02%) 등의 약세도 이어졌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그동안 너무 많이 오른 데 따른 가격 부담과 금리 인상 우려 속에 매물은 소폭 증가했으나, 수요가 감소하며 0.01% 내렸다. 인천(-0.09%)과 경기(-0.02%)도 약세가 지속했다. 
 
당초 계약갱신청구권에 따른 '8월 전세 대란'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아직 조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정부가 21일 임대 물량 확대를 위해 임대인에게 인센티브를 주고, 임차인 지원 제도를 강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임대차 시장 안정 방안'을 확정해 발표한 데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수요가 월세로 분산되고, 경기, 인천 등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