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칼럼] 에너지값 폭등 시대, 에너지 효율 향상이 답이다

중앙일보

입력 2022.04.14 00:03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김용하 인천대 전기공학과 교수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경제 전반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생산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많은 기업은 원가 증가로 인한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한시적 전기요금 할인이나 전용 요금제 신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특정 분야에 국한된 요금제 신설이나 할인은 다른 전기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전가하게 되고, 상계관세와 같은 국제통상 분쟁을 초래하는 등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효율 향상을 통한 에너지 비용절감이 중요하며 기업의 효율 향상 투자와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 기술개발과 효율 향상을 유인할 수 있는 요금체계 마련 또한 필요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 탄소중립에 있어 ‘에너지효율 향상’(37%)이 재생에너지(32%)보다 더 크게 기여하며 2040년까지 누적투자 또한 효율 향상(13.8조 달러)이 재생에너지(12.9조 달러)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독일, 일본 등 주요국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에너지효율 향상을 통해 GDP가 늘어나면서도 에너지 소비는 줄어드는 탈동조화(Decoupling)를 이루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GDP와 에너지 소비가 함께 늘어나고 있다. 에너지 소비원 단위는 독일의 2.5배, 영국의 3.5배에 달하는데, 똑같은 1달러의 GDP를 창출하기 위해 이들 국가보다 2~3배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탄소중립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비 행태를 합리적으로 바꾸고, 에너지를 많이 쓰는 산업부문의 효율화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생산공정 전반의 에너지 소비를 효율화하면 더 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만큼 기업들의 선제적인 효율 투자가 요구되며, 정부와 에너지 기업들의 체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 제조업의 근간을 담당하는 중소규모 에너지 다소비 기업들은 경영 여건상 효율 향상을 위한 단기간 내 대규모 투자가 쉽지 않으므로 다양한 지원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고효율 설비로의 교체 지원 확대와 다소비 기업 맞춤 효율 개선 기기를 발굴하여 기술지원 하는 등 현장 여건에 맞는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에너지 다소비 기업과 에너지절약 전문기업(ESCO)과 연계하여 에너지 진단, 요금 컨설팅, 효율 개선 등을 통해 종합적인 에너지 효율화 사업모델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도 요구된다. 온실가스 감축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문을 여는 열쇠, 그것이 바로 에너지 효율 향상이다.


김용하 인천대 전기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