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물가 전망 1.9%→3.2%…尹 “물가, 새정부 최우선 과제”

중앙일보

입력 2022.04.06 15:18

수정 2022.04.06 15:51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국내외 주요 경제예측 기관이 한국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대폭 높여 잡았다. 물가 상승에 따른 실물경제 충격이 점차 가시화하면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물가를 포함한 민생안정 대책을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라”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지시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아시아개발은행(ADB)은 6일 ‘2022년 아시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1%에서 3.0%로 내리고,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9%에서 3.2%로 대폭 상향했다. ADB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고유가, 식품 물가 상승 등을 한국의 물가 압박 요인으로 꼽았다.  

아시아개발은행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최근 국내외 주요 기관들의 수정 전망을 보면 물가 상승률은 크게 올려 잡고 성장률은 소폭 하향 조정하는 양상이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지난달 29일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2.7%로 낮추면서, 물가 상승률은 3%에서 3.8%로 올렸다. 메리츠증권도 성장률은 3.0%에서 2.8%로 낮췄고, 물가 상승률은 3.3%로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지난 1월 성장률(3.3%→3%)은 내리고, 물가 상승률 전망치(2.2%→3.1%)는 끌어올렸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전세계 공급망 위기 등으로 원유ㆍ원자재, 농축수산물의 생산과 공급에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에너지와 원자재 대부분을 수입하는 한국으로선 피하기 힘든 악재들이다. 여기에 국내 경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권에서 서서히 벗어나 수요가 늘면서 물가 상승 압박을 크게 키웠다.  
 
문제는 앞으로도 물가 상승 요인이 산적해 있다는 점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원자재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는 데다, 무너진 글로벌 공급망 복구 시점은 불투명해서다. 물가가 오르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들어 소비 위축→생산 저하→고용 위축의 악순환을 불러오기에 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인수위도 대책을 고심하는 분위기다. 윤 당선인은 이날 경제분과 간사들로부터 물가 동향을 보고받고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물가를 포함한 민생안정 대책을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라”고 인수위에 지시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5일 오후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들어오면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인수위 간사들은 3월 소비자물가가 10년 만에 4%를 웃돈 원인과 배경, 향후 국민에 미칠 파급효과 등에 대해 설명하면서 “올 상반기뿐 아니라 하반기에도 각종 경기 지표와 물가 전망이 어둡다”고 보고했다. 이와 함께 “(물가 상승 원인이) 종합적 상황이기 때문에 새 정부가 대책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에 대해서는 딱 ‘이것’이라고 간단히 말하기는 어렵다”고 보고했다고 원일희 인수위 수석부대변인은 전했다.
 

14일 이후 한은과 비공개 간담회 

인수위는 지난달 31일 현 정부에 유류세 30% 인하를 요청했고, 기재부는 5∼7월 유류세 인하 폭을 30%로 확대하고 영업용 화물차ㆍ버스 등에 유가 연동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새 정부 출범 후 전기ㆍ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고, 고유가와 관련해 서민ㆍ저소득층ㆍ영세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을 ‘핀셋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통화정책을 통해 물가를 관리하는 한국은행과의 정책 공조를 위해 한국은행과의 간담회도 추진한다. 원 부대변인은 “금리가 결정되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리는 14일 이후 한은과 비공개 간담회를 여는 것으로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금리는 경제ㆍ물가 등과 직결돼있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