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서두르는 정부…의료계 “환자 모니터링 필수”

중앙일보

입력 2021.10.06 00:08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이르면 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택(자가) 치료의 구체적인 윤곽이 나온다. 의료계에선 재택 치료가 제대로 되려면 철저한 환자 모니터링과 신속한 이송 시스템이 관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5일 김부겸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재택치료시스템 구축 방안을 이번 주 내로 마련해 달라”고 말했다. 중수본 관계자는 “세부 방안을 확정해 8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금도 재택치료가 일부 이뤄지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5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 배정자는 수도권 335명(서울 200명, 경기 128명, 인천 7명), 비수도권 4명(충청 3명, 강원 1명)이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일시적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재택치료를 확대하려는 것이다.
 
8일 발표 때는 구체적 재택치료 조건 등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지난달 28일 브리핑에서 “50~60대 이상은 기저질환이 있거나 증상이 있고 위중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면 재택 치료를 권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중증, 사망자가 드문 40세 미만의 1인 가구 우선으로 하고 동거인이 있다면 백신 접종을 완료했을 경우로 제한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상자가 독립된 방·화장실을 쓸 수 있는 환경이 돼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중수본 관계자는 “의료상 위험성이 있는 환자까지 재택 대상이 되는 건 아니다”며 “먼저 본인이 의사를 표현해야 하고, 연령대·기저질환·가구 환경이 어떤지 등을 평가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안전한 재택치료를 위해선 환자 상태를 잘 모니터링해 긴급 상황 시 의료기관으로 신속히 이송하기 위한 체계가 필수라고 강조한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갑자가 상태가 나빠질 경우 당장 누가 달려와서 해결할 것인지, 몇 군데에서 동시에 위급 상황이 터지면 어떻게 관리할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은미 교수는 “비만·당뇨 환자는 중증으로 갈 위험이 있어 지역 의료진이 아침저녁으로 통화해 체크하고, 위급 상황 시 연락할 담당 의료진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진료 경험이 있는 의료기관 중심으로 환자를 비대면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고민 중이다. 중수본 관계자는 “야간 등 응급상황 때 대처가 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코로나19 전담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 협력병원 위주로 권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