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불모지' 北 "코로나 성공 대응" 자평…타국엔 "성급한 방역 완화" 일침

중앙일보

입력 2021.08.09 18:2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안광일 인도네시아 주재 북한 대사는 지난 6일 ARF 외교장관 회의에서 자력 대응을 통해 코로나19 대응에 성공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지난 6일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화상으로 개최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서 안 대사(화면 중앙)의 발언을 듣고 있는 모습. [외교부 제공]

북한이 국제회의에서 국경 봉쇄와 자력 대응을 통해 코로나19 방역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자찬했다.  
 
주아세안 북한 대표부 대사를 겸임하고 있는 안광일 인도네시아 주재 북한 대사는 지난 6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의에서 “공화국(북한)은 자력으로 코로나19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경제회복과 인민생활 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적 연대와 협력’을 핵심 의제로 다룬 ARF 회의에서 ‘자발적 고립’을 통한 방역 성과를 홍보하는 다소 모순적인 메시지를 강조한 셈이다.

北 ARF 회의서 "코로나 성공 대응"
자력대응·자력갱생 강조
'국경 폐쇄' 기조 이어갈 듯
의장성명에 줄 이은 CVID

안 대사의 이같은 발언은 코로나19 확진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는 북한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북한은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22일까지 총 3만 4000여명에 대한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실시했으나 확진자가 0명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시작된 지난해 1월부터 ‘비상방역’을 선포한 뒤 국경을 전면 폐쇄했다. 외국인의 입국도 원천 차단했다. 중국·러시아 등을 오가는 항공편 및 국제열차 운행 또한 중단한 상태다.
 

안광일 대사는 ARF 외교장관 회의에서 전세계적인 코로나19 재확산세와 관련 "성급한 방역 완화"를 지적했다. 사진은 북한 당국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병원을 소독중인 모습. [연합뉴스]

안 대사는 이날 회의에서 약 10여분간 발언했는데, 이 중 4분을 북한의 코로나19 관련 상황을 전하는 데 썼다. 이 과정에서 최근 델타 변이 등 전세계적인 코로나19 재확산세에 대해 “일부 국가의 성급한 방역 완화로 인해 코로나19가 급속히 재확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한다. 안 대사는 ‘일부 국가’가 어디인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다. 


안 대사는 또 방역 완화와 관련 “순간의 부주의로 다수의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교훈을 얻었다”는 말도 남겼다고 한다. 
 
북한이 이처럼 방역 완화에 경계심을 드러내면서 향후에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기보다는 지금의 자발적 고립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이 백신 국제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의 백신 지원을 거부하고, 구호요원의 방북을 위한 행정 절차에 협조하지 않는 것 역시 ‘자력 대응’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당초 코백스는 지난 5월 말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약 170만 회분을 북한에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북한은 부작용 등을 우려하며 이를 거부하고 있다. 지난 7월 30일 기준 WHO 전체 194개 회원국 중 백신 접종을 시작하지 못한 국가는 북한과 에리트레아 등 2개국 뿐이다.
 
한편 ARF 회의에 앞서 연쇄적으로 개최된 한·아세안-아세안+3-EAS(동아시아정상회의) 외교장관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북한의 비핵화 목표 표현과 관련, 남북미가 합의한 '완전한 비핵화' 외에 북한이 꺼려 하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도 강조했다. 각 회의의 결과물인 3개 외교장관 회의의 의장성명엔 모두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를 이루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중요성이 회의에서 강조됐다”는 문구가 담겼다.   
 
반면 ARF 외교장관 회의의 의장성명엔 CVID는 빠지고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 공약 및 추가적인 핵·미사일 실험 자제 공약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였다”는 내용만 담겼다. ARF 회의가 북한이 유일하게 참여하는 역내 다자안보 협의체라는 점을 감안해 의도적으로 의장성명에 CVID를 담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북한이 참여하는 회의에서만 언급하지 않았을 뿐 국제사회 역시 CVID의 필요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