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T, 타자마자 8800원…빨리오는데 탈래 말래? [팩플]

중앙일보

입력 2021.08.04 17:27

수정 2021.08.04 17:33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택시 카카오T블루. [사진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호출 시장 1위 플랫폼 카카오모빌리티가 1000원이었던 스마트 호출료를 최대 5000원으로 올렸다. 시장을 장악한 플랫폼이 본격적으로 수익을 내기 위한 요금 인상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무슨 일이야 

카카오모빌리티(이하 카모)는 “지난 2일부터 스마트 호출 요금제를 정액제에서 탄력요금제로 바꿔 적용했다”고 4일 밝혔다. 스마트 호출은 2018년 카모가 선보인 유료 서비스다. 돈을 더 내면 택시를 더 잘, 빨리 잡을 수 있게 해준다. 호출료는 원래 정액 1000원(심야 2000원)이었는데 이를 최대 5000원까지 탄력적으로 받겠다는 것.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지난 6월 ‘플랫폼 중개사업자’로 국토교통부에 등록하며 중개요금 변경을 신고했다”고 설명했다. 개정된 여객자동차법은 플랫폼 중개사업자가 중개요금을 정해 국토부에 신고할 수 있게 한다.
 

이게 왜 중요해

카모가 운영하는 앱 ‘카카오T’는 자타공인 국내 1위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지난해 3월 이른바 ‘타다 금지법’(개정 여객자동차법) 통과로 렌터카와 기사를 함께 부르는 서비스 ‘타다 베이직’이 사라져 택시 위주로 모빌리티 업계가 재편됐고, 카카오T 독주 체제가 됐다. 전국 택시기사 25만명 중 23만명이 카카오T에 가입했고 이용자는 2800만명이다. 타다 운영사 쏘카, 우버·티맵모빌리티의 합작사 우티가 새로 가맹택시를 선보였지만 아직까지 눈에 띄는 성과는 못 내고 있다. 한 모빌리티 스타트업 관계자는 “기사도 이용자도 대안이 없다 보니, 1등 플랫폼 카카오T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요금 올리기 나선 카카오T

카카오T 택시 일반 호출은 무료다. 대신 카모는 택시 요금 외 서비스를 더 좋게 하거나 배차를 더 빨리 해준다는 명목으로 이용료를 더 받는 스마트호출(0~5000원), 가맹택시(블루, 0~3000원) 등을 줄줄이 선보여 수익을 내고 있다. 무료인 일반 호출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 화면 상단에 유료 서비스를 노출하고 알고리즘 상 배차가 잘 되게 설계해 이용자들이 자연스럽게 더 비싼 이용료를 내게 하는 방식이다.


 

카카오T 스마트호출 요금제 변경. 기존엔 낮시간대 중개수수료가 1000원이었지만 0~5000원까지 가능한 탄력요금제가 적용이 되면서 2000원으로 인상된 걸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카카오 T 캡처]

 

이번 스마트호출 요금제 변경도 같은 맥락의 일이다. 당초 1000원 정액제였는데 이를 배차상황에 따라 5000원까지 탄력 적용해 배차를 원활하게 한다는 것. 하지만 스마트호출 이용자는 타자마자 8800원(기본요금 3800+이용료 5000원)을 내야할 수도 있다. 이용자가 선택한 거라지만 과도하다는 지적. 더구나 최대 3000원을 더 내는 가맹택시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는데 비해, 스마트호출은 오직 배차만을 위해 많게는 5000원을 낸다는 점에서 반발이 인다. 카모와 함께 플랫폼 중개사업자로 등록한 반반택시와 아이엠택시는 중개요금을 최대 3000원 받겠다고 신고했다.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우리는 지방자치단체가 ‘시민 부담을 의식하라’ 권고해 택시 요금 인상을 자제해 왔는데, 카모는 아무런 제재 없이 자유롭게 실질 요금을 올렸다”며 “그 수익도 기사에게 일부 주는 걸 제외하곤 다 플랫폼 몫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카모는 “요금 인상이라기보다는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있는 곳에서도 배차가 잘 되도록 요금제 설계를 바꾼 것”이라며 “같은 장소라도 스마트 호출로 배차가 안 되면 요금을 실시간 조정해 배차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모빌리티 매출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카카오모빌리티 연결 감사 보고서]

 

반응은?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지켜봐야한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모빌리티정책과 관계자는 “카모의 요금정책이 타 플랫폼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수준으로 가고 있긴 하다”며 “이용자 수요 측면에서 변화가 있을지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플랫폼 사업자가 네트워크 경제로 독과점 지위에 오른 후 수수료를 올리는 경우가 많다”며 “코로나19로 플랫폼 이용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수수료 인상은 물가 상승 등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즘 뜨는 기업 소식, 팩플에서 보세요!

이메일로 팩플을 구독 신청하세요. 요즘 핫한 테크기업 소식을 입체적으로 뜯어보는 ‘기사 +α’가 찾아갑니다. 구독신청 → https://url.kr/fact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