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만에 ‘먹는 물' 바꾸는 부산…창녕·합천주민 반발이 변수

중앙일보

입력 2021.06.26 05:0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낙동강 물 관리방안, 24일 위원회 심의 통과 

24일 오전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취수원 다변화에 반발하는 환경단체 회원들. [사진 환경단체]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 이후 지난 30년간 낙동강 물 대신 맑은 상수원을 요구해온 부산시민의 염원이 성사되는 첫 단추가 끼워졌다.
 
부산시는 24일 오전 정부 세종청사에서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가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부제 안전한 먹는 물을 위한 수질 개선과 취수원 다변화)’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통합물관리방안은 환경부 정책으로 공식 채택돼 향후 행정절차를 거쳐 시행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정부는 낙동강에서 취수하는 ‘먹는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용역 등을 거쳐 통합물관리방안을 마련했고, 지난해 12월 물관리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했다. 위원회는 5개월여 검토 끝에 이날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부산 먹는 물, 합천·창녕에서 관로로 끌어와

24일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심의 의결한 취수원 다변화 계획도. 자료:환경부

 
 통합물관리방안은 2030년까지 낙동강 수질을 II 등급 이상으로 개선하고, 2028년까지 상·하류 취수원을 다변화하는 것이 골자다. 


 먼저, 수질 개선을 위해 구미 공공하수처리장과 대구 성서공단 폐수처리 시설의 미량오염물질 관리방안 마련, 대규모 산업단지(150만㎡)에 완충 저류시설 추가 설치(19개→26개), 수질 자동측정망 확충(24개→34개), 낙동강 본류로 방류되는 공공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시설 추가 도입, 가축분뇨 등 처리 강화, 총유기 탄소(TOC) 수질오염 총량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 이 사업에 2030년까지 3조9000억원이 투입된다. 
 
 또 낙동강에서 취·정수한 먹는 물(수돗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오는 2028년까지 합천 황강 복류수 45만t, 창녕 강변여과수 45만t 등 총 90만t을 개발해 경남 중·동부에 48만t을 우선 공급하고, 부산에 42만t을 공급한다. 복류수는 강바닥 4~5m에서, 강변여과수는 강 인근 지하 30~40m에서 채취한다.  
 

 1조8000억 들여 2028년까지 공사 완료

24일 오전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사진 부산시]

 
 부산시와 환경부는 부산시민이 필요로하는 하루 95만t의 먹는 물 가운데 황강·창녕에서 끌어올 42만t을 제외한 나머지 53만t은 회동수원지 물 10만t 개량과 낙동강 물 초고도 정수처리 43만t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통합물관리방안이 확정됨에 따라 정부는 다음 달 말쯤 총리실·환경부 등 정부와 영남권 5개 시·도, 구미시·합천군·창녕군 등이 참여하는 상생 협정을 맺은 뒤 지역별로 설명회 등을 열 계획이다. 이후 환경부는 2022년까지 사전타당성 검토와 예비타당성 조사, 설계 등을 거쳐 2025년 관련 시설 공사를 시작해 2028년 완료할 계획이다.
 
 부산 물 공급을 위해서는 황강 복류수 취수지점인 합천 적중면 황강 하류에서 물금취수장까지 112㎞, 강변여과수 취수지점인 창녕군 길곡면 증산리에서 물금취수장까지 45㎞에 관로(지름 2m)를 깐다. 이 관로 매설과 낙동강 원수 초고도처리 등에 1조8000억원가량 든다. 
 

합천·창녕 주민과 환경단체 반발 심해

강변여과수 개념도. 자료:환경부

 

하천 복류수 개념도. 자료:환경부

 하지만, 합천·창녕 주민들이 취수지점 일대의 규제 강화와 물 이용 장애 등 피해를 우려하고, 환경단체는 낙동강 본류의 수질 개선을 포기한다며 반발하고 있어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계획 기간 내 완료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환경부는 반발 지역을 위해 상생기금 조성과 소득향상 지원 사업 등을 펼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시가 필요로 하는 대체 수량만큼 가져오지 못해 아쉬운 점은 있으나 수자원도 소중한 자산이므로 합천·창녕에서 물을 가져오기 위해 상생 방안을 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