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미대사 "6월전 백신 받도록, 美백악관·국무부 접촉 최선"

중앙일보

입력 2021.05.11 05:2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이수혁 주미대사. 연합뉴스

이수혁 주미대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정부 또는 미국 제약업체로부터 백신을 조기 공급받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미 백악관·국무부 인사 접촉을 통해 6월 전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사는 10일(현지시간) 특파원 화상 간담회에서 "미국이 한국의 사정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며 "화이자 고위임원과의 접촉을 통해서도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라고도 말했다.
 
특히 그가 '6월 전'이라고 특정 시기를 언급 한 만큼, 오는 21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백신 공급 및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기술협력 등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현재로써는 문 대통령의 방미 기간 중 화이자 최고경영자(CEO)와의 접촉은 계획에 잡혀 있지 않다고 외교 관계자는 전했다. 정부는 코로나19 백신의 국내생산과 관련해 제약사들이 협의할 문제지만 정부도 관심을 가지고 긴밀하게 협의를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 대사는 이번 한·미정상회담에 대해 "역대 어느 회담보다 실질적이고 국익에 도움이 되는, 또 한미 양국이 만족할 회담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또 바이든 행정부가 최근 검토 완료한 대북정책에 대해서 "결과적으로 우리의 입장이 많이 반영된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대북전략이 마련됐다고 평가한다"며 "앞으로 미국의 대북정책이 실제 이행돼 나가는 과정에서도물샐틈없는 공조를 이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미 간 소통과 관련해 이 대사는 "제 40년 외교관 경험에 비춰 봐도 과연 이 정도로 빈번하게 접촉하고 또 깊이 있게 협의를 해가며 정책 공조를 이룬 시기가 있었는가 싶을 정도로 긴밀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과도 10여 차례 관저에서 면담했다고 한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