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수의 노후준비 5년 설계] 고개드는 물가…노후자금 온전히 지키려면

중앙일보

입력 2021.03.24 00:03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서명수

최근 미국의 장기 채권 금리가 급등하면서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 국채 10년물이 ‘금리의 티핑포인트’인 1.75%에 다가가고 있다며 머지않아 증시 자금 대이동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 브라질·러시아 등 신흥국들은 잇따라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어 미국의 금리 상승은 한국도 강 건너 불일 수 없는 상황이다.
 
금리가 오르는 것은 물가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물가는 10년, 20년 오랜 세월이 걸리는 노후준비에서 성패를 좌우하는 변수다. 예를 들어보자. 10년 후 현재의 화폐가치로 15만원의 연금을 타려면 지금 6500만원 정도만 있으면 된다. 그러나 연간 물가상승률을 2%로 잡으면 10년 후 15만원의 연금에 필요한 재원은 6500만원이 아닌 7847만원이고, 20년 후엔 9658만원이 필요하다. 만약 물가상승을 배제한 채 노후준비를 한다면 은퇴 후 생활비가 모자라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돈 가치는 시간이 길수록, 물가상승이 심할수록 하락세에 가속이 붙는다. 주어진 물가 상승 아래 현재 돈의 가치가 절반이 될 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쉽게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 72법칙이다. 72란 숫자를 연간 물가상승률로 나누면 원금의 가치가 반 토막 날 때까지 걸리는 햇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간 물가상승률이 3%라면 24년 뒤 화폐가치가 절반이 돼 그 시점의 1000원은 현재의 500원에 해당한다. 30대 중반의 월급쟁이가 24년 뒤의 노후자금을 5억원으로 계산했다면 목표는 10억원으로 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사실 사람들은 오랫동안 지속된 저물가의 영향으로 은퇴설계에서 물가 문제를 그렇게 심각하게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론 다르다. 전문가들은 은퇴 기간을 초기·중기·후기의 3단계로 나누어 자산을 분산하되, 중기와 후기로 갈수록 시간과 물가를 이겨낼 수 있는 주식 비중을 높여가는 방식을 추천한다.
 
서명수 객원기자 seo.myongso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