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반대한 연합훈련…서훈 "훈련 규모 축소될 수밖에 없다"

중앙일보

입력 2021.02.24 21:01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김정일 북한 국무위원장이 올 초 중단을 요구한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해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훈련 규모가 축소될 수밖에 없다"고 24일 말했다. 서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같이 발언했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뉴스1]

서 실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비상적인 상황에서 예년과 같은 규모의 (연합)훈련은 어렵다"며 "실기동 훈련은 없고, 도상(圖上) 연습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참가 규모도 축소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실기동훈련 없이 도상 연습으로 진행"
"전작권 최대한 이른 시일 내 환수 목표"
실기동훈련 없이 전작권 전환 가속화 어려워

군 소식통에 따르면 한ㆍ미 군 당국은 전반기 연합훈련을 다음 달 8~18일, 예년처럼 컴퓨터 시뮬레이션 형태의 지휘소훈련(CPX)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서 실장이 말한 도상 연습은 이런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 실장은 또 전시작전권 전환과 관련해선 "한ㆍ미 당국 간에 여러 가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가급적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환수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를 두고 군 안팎에선 서 실장의 논리가 모순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군 관계자는 "전작권 전환을 위해선 한국군이 주도할 미래연합사 능력 검증 3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실기동훈련 없이 검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한ㆍ미 군 당국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실시하려던 검증 3단계 중 2단계(완전운용능력ㆍFOC)를 올해로 미룬 상태다. 결국 전작권 전환 속도를 높이려면 올여름 실시할 하반기 연합훈련은 적지 않은 규모의 병력이 참가하는 실기동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연합훈련을 빌미로 도발할 경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북 원칙론에 입각해 더 강경한 자세를 띨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일각에선 한국 측에 하반기에는 실기동 연합훈련을 갖자고 적극 나설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