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佛은 나치 부역자 끝까지 처벌"…5가지 사면 반대론

중앙일보

입력 2021.01.01 19:19

수정 2021.01.01 19:27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탄핵 촛불을 들었던 국민이 용서할 마음도 용서할 준비도 돼 있지 않다"며 이낙연 당대표가 제기한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론을 반대했다.  
 
정 의원은 1일 페이스북을 통해 "사면론에 반대한다"며 5가지 이유를 꼽았다.  
 
그는 ▶"재판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할 수도 없고 편법으로 해서도 안 된다" ▶"두 사람은 국민께 사과하거나 용서를 구한 적도 없다" ▶"이게 나라냐며 촛불을 들었던 '촛불 국민'은 뭐가 되나" ▶"사면은 특정인 누가 제기한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다' ▶"대한민국엔 아직도 이명박 박근혜 정권 때 드리워진 적폐가 쌓여있고, 그 청산 작업을 할 때다" 등이 그가 사면론에 반발했다.  
 
그는 "프랑스가 톨레랑스(관용)의 나라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나치 부역자를 끝까지 추적해 철저히 처벌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웠기 때문이다. 프랑스 국민이 이제 용서하고 관용을 베풀자고 할 때까지 민족반역자들을 무관용으로 대하고 처벌했다"며 "용서와 관용은 가해자의 몫도 정부의 몫도 아니다. 오로지 피해자와 국민의 몫이다. 가해자들이 진정 반성하고 용서를 구하고 '이제 됐다. 용서하자'라는 국민적 합의가 됐을 때 용서하고 관용을 베푸는 것이다. 그럴 때 국민통합도 된다"라며 프랑스의 나치 부역자 처분 문제와 비교하며 사면론 반대를 주장했다.  


이해준 기자 lee.hayjune@joongang.co.kr